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6월 14일] 파업, 하루 속히 끝내야 한다

화물연대가 전면 파업에 들어가면서 평택항ㆍ광양항ㆍ부산항 등 전국 곳곳에 수출입 컨테이너가 발이 묶이는 등 물류대란이 현실화되고 있다. 오는 16일부터는 전국건설기계노조까지 전면 파업에 들어갈 예정이어서 국가경제에 큰 먹구름을 드리우고 있다. 엄청난 고유가로 더 이상 트럭을 몰 수 없다는 화물노조의 입장에 다수의 국민은 심정적으로 공감하는 바가 크다. 밤잠까지 자지 못하고 트럭을 운행해도 오히려 적자라니 어찌 화가 나지 않겠는가. 국민 또한 고유가에 따른 가계비용 증가를 피부로 절실히 느끼고 있는 상황이 아닌가. 과거 화물노조와 건설기계노조 등이 파업했을 때와 달리 국민들은 이번 파업에 대해서만큼은 이들을 심하게 비난할 수 없는 입장이다. 그럼에도 이번 파업은 하루빨리 끝나야 한다. 가뜩이나 국가경제가 침체 국면을 면하지 못하고 있는 어려운 상황에서 국가경제의 동맥을 끊어놓는 파업은 결코 바람직하지 않다. 올해 경제성장률이 4%선에 머물 것이라는 암울한 전망이 나오고 있는 상황에서 파업은 경제를 더욱 어렵게 만들 것이 불 보듯 뻔하다. 화물노조가 전면 파업에 이르게 된 주요한 원인 중 하나로 정부의 안이한 대처를 지적하지 않을 수 없다. 노조원들이 오래전부터 더 이상 못 해먹겠다고 외쳐왔음에도 정부는 이를 가벼이 여기지 않았나 반성해야 한다. 정부는 노조가 협상 테이블에 나설 수 있는 최소한의 협상안을 마련하고 진실된 자세로 대화에 임했어야 했다. 화물노조의 파업은 불법이며 나아가 국가산업에 막대한 피해를 준다는 대국민 설득논리만으로 이번 파업을 끝내기는 쉽지 않은 듯하다. 파업을 조속히 해결하는 열쇠는 무엇보다 정부에 있다. 정부의 강력한 해결의지가 중요하다. 화주들도 이기적 자세에서 벗어나 화물노조원들과 상생할 수 있는 방안을 찾아야 한다. 정부와 화주들은 노조에 진정성 있는 마음과 함께 현실적 대안을 제시해야 한다. 노조 또한 막가파식 파업은 자제해야 한다. 언제라도 대화로 해결책을 모색할 수 있다는 열린 자세가 필요하다. 파업으로 자칫 기업이 망하고 종업원들이 일자리를 잃는 등의 또 다른 피해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와 화주ㆍ노조원들의 지혜로운 자세가 요구된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