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6월 임시국회에서 저축은행 국정조사 가능성 커져

野에 이어 與 원내대표와 비대위원장도 국조 동의<br>시기는 野는 즉각 실시, 與는 검찰수사 이후 실시로 이견

부실 저축은행 사태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가 6월 임시국회에서 이뤄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야당이 ‘부실금융 게이트’라며 국조를 주장해온데 이어 한나라당의 황우여 원내대표와 정의화 비상대책위원장 등 지도부와 의원 35명이 찬성하고 나섰기 때문이다. 다만 야당은 즉각적인 실시를 요구하는 반면, 여당은 검찰수사 종료 이후로 시각차가 있으나 은진수 감사원 감사위원의 부산저축은행 수뢰혐의까지 드러나 6월 임시국회에서 국조가 진행될 가능성이 있다는 게 정치권의 분석이다. 황 원내대표는 27일 “현재 수사가 진행중이니 전모가 밝혀지면 정치권에서도 필요시에 국정 조사를 해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날 주요 당직자회의에서“놀랍게도 감사원 현역 (은진수) 감사위원이 연루된 혐의(부산저축은행에서 수뢰의혹)가 나타났다고 해 국민이 걱정하고 있다”며 이같이 강조했다. 정의화 비대위원장도 지난 19일 “먹이사슬 같은 비리행위를 척결하지 못하면 공정사회도 없다”며 국조를 요구했다. 그는 “검찰 수사가 마무리되고 결과가 미흡하면 국회 차원에서 국정조사를 추진해야 한다”며 “우리 사회의 가진 자, 힘있는 자들이 대한민국 역사를 만든 민초들을 등쳐먹은 것”이라고 분개했다. 한나라당 의원 35명도 26일 6월 임시국회에서 저축은행 사태의 국조를 실시할 것을 촉구하고 나섰다. 특히 민주당 등 야당은 즉각적인 국조를 거듭 요구하고 나섰다. 김진표 민주당 원내대표는 27일“황우여 원내대표에게 즉각적인 저축은행 국정조사를 요구했다”며 “한나라당은 검찰수사 이후로 미루고 있지만 빨리 국조를 실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무위와 법사위 위주로 저축은행 태스크포스 구성방침도 밝혔다. 홍영표 민주당 원내대변인은 “저축은행의 부실은 이미 3년 전 정부와 금융기관에서 파악했고, 이를 방치한 것 또한 정부이므로 국정조사가 반드시 필요하다는 게 민주당의 입장”이라고 밝혔다.그는 또 “금융관료들과 정진석 청와대 정무수석을 비롯한 권력실세들이 저축은행에 감사나 사외이사로 근무하면서 부실을 방조하거나 방패막이 역할을 하지 않았느냐는 의혹이 제기되고 있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