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치 대통령실

'1급 물갈이→靑 조직정비→개각' 수순 밟나

"사회전반 바뀌어야" 與 인적쇄신 기정사실화

여권이 올해 말과 내년 초를 기해 1급 이상 고위공직자 인적쇄신-청와대 조직정비-개각 등의 수순으로 인적쇄신을 준비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청와대의 적극적인 부인에도 불구하고 지난 16일 교육과학기술부 1급 이상 일괄사표 제출에 청와대의 ‘의중’이 작용했으며 이 같은 인사방식은 자연스럽게 다른 부처로 확산될 것으로 전망된다. 청와대 측은 17일 공식 브리핑에서 일부 언론이 보도한 이주호 전 청와대 교육과학수석의 교육부 차관 기용설과 정진곤 교육과학수석의 경질설과 관련해 “사실무근”이라고 밝혔다. 김은혜 부대변인은 “인사와 관련된 사항은 사안의 파장이 큰 만큼 보도에 신중을 기해달라”고 당부했다. 청와대 측의 이 같은 공식 부인에도 불구하고 연말ㆍ연초 인적쇄신을 여권 내에서는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실제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는 “정권이 바뀌면 정책이 바뀌고 사회 전반이 바뀌어야 한다”면서 “정권이 바뀌었는데도 사회 전반의 개혁이 이뤄지지 않는 것은 우리가 국회에서 역량을 발휘하지 못했기 때문”이라고 말해 인적쇄신을 강조했다. 안경률 사무총장도 방송에 출연해 “대통령이 새로운 각오로 출발할 것이며 이에 개각ㆍ인적쇄신이 필요한 것으로 본다”면서 “모든 정치적 사안들이 1주년에 맞춰가고 있고 국민적인 기대가 그런 것으로 나타난다고 본다”고 말했다. 친이계인 진수희 의원도 “정부 초기에 이뤄졌어야 하는데 좀 늦어진 감이 있다”면서 “다른 부처로 확산되는 것이 필요하지 않나 생각한다”고 거들었다. 인적쇄신과 관련해 키를 쥐고 있는 청와대 측의 기류는 연말ㆍ연초를 기해 고위공직자와 청와대 측 인사를 통해 공직사회 상층부를 쇄신한 후 내년 2월 정부 출범 1년을 즈음해 개각을 단행하는 ‘상향식 인적쇄신’을 추진하고 있다. 그러나 청와대 측은 과거와 달리 정부 부처 업무보고를 두 달여 앞당긴데다 인사 때문에 공직사회가 술렁일 경우 경제위기 극복에 장애가 될 수 있다는 점에서 곤혹스러워하고 있다. 이와 관련, 이명박 대통령도 정확하지 않은 인사 논란이 외부로 유출되는 데 대해 불편한 심경을 가진 것으로 알려졌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