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평택 고덕국제신도시 개발사업 당초보다 늦어져 주민들 반발

평택 고덕국제신도시 개발 사업이 당초 계획보다 상당기간 늦춰질 전망이어서 지역주민들의 거세게반발하고 있다. 14일 고덕국제신도시 공동사업시행자인 LH, 경기도시공사, 평택도시공사 등에 따르면 고덕신도시 사업은 LH가 이달 내 국토해양부의 실시계획 승인을 받아 오는 2013년 12월 준공을 목표로 사업이 추진됐다. 하지만 LH 등은 개발 계획을 전면 수정해 실시계획을 재신청할 계획인 것으로 알려졌으며, 고덕국제신도시 개발사업을 3단계로 나눠 추진할 계획이다. 1단계로 서정리 역세권 일원의 90여만㎡를 오는 2018년까지 준공한 후 2020년 2단계 준공, 2022년 3단계 준공한다는 방침이다. 이 경우 준공시기가 당초 보다 9년 가량 늦춰질 것으로 예상된다. 하지만 경기도는 이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공사 착공시기가 늦어지면 질수록 보상에 따른 금융이자부담이 늘어 조성원가에 반영되어 분양가가 높아질 수 있다는 것이다. 이에 따라 도는 공사착공 시기를 앞당기고, 공사를 2단계로 진행시킬 필요성이 있다고 지적했다. 도 관계자는 "주한 미군이 평택으로 이전하는 시기를 대략 2015~2016년으로 잡고 있다"면서 "이 시기에 맞물려 고덕국제신도시의 준공이 이뤄져야 한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공사 착공시기를 2012년에 1단계, 2013년에 2단계로 착공해 미군이 평택으로 옮기는 시점에 공사가 준공돼야 한다고 강조했다. 국토해양부 관계자도 LH가 계획하고 있는 3단계별 공사착공 시기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하지만 이 사업의 주도권을 갖고 있는 LH가 완강한 의지를 보일 경우 공사착공 시기는 늦추어질 전망이다. 한편 고덕신도시 사업의 경우 전체 7,046필지의 84%에 대한 토지보상(2조1,453억원)이 마무리 됐지만 3,063건의 지장물에 대한 보상지연으로 주민들이 반발하고 있다.

관련기사



윤종열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