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5개 이사국 및 독일(P5+1)과 이란의 핵 협상이 극적으로 타결되면서 재계도 이란 시장 진출 재개 및 이란산 원유 수입 확대 등의 기대감이 높아지고 있다.
건설업계는 특히 이란 정부가 경기부양에 나설 경우 사회기반시설(SOC)과 플랜트 등 개발사업의 발주량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이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24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재계는 이란 핵협상 타결로 플랜트, 에너지ㆍ조선ㆍ해운ㆍ항만 등과 관련된 부분의 교역이 점차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 이란과 우리나라의 무역 규모는 연간 140억달러에 이른다. 우리가 매년 약 60억달러어치를 수출하고 80억달러어치를 수입해오고 있다. 지난해 기준으로는 우리나라에서 이란으로 철강재가 14억7,000만달러, 석유화학제품이 8억7,000만달러, 가전제품이 7억7,000만달러, 산업기계가 4억2,000만달러 규모씩 수출됐다.
정부는 다만 미국의 전면적인 제재 철회의사를 확인하기 전까지는 구체적인 전망을 내놓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기획재정부 관계자는 "이란과 P5+1 간 협상이 최종 합의로 이어져 미국이 제재를 푼다면 그간 차질을 빚어 왔던 수출입거래가 자유화돼 기업들에는 긍정적인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재계는 이란과의 교역이 단계적으로 확대되는 만큼 호재로 해석하고 있다. 가장 기대하는 부문은 플랜트 수주다. 이란은 가솔린ㆍ디젤 등의 수입이 늘면서 경상수지 적자를 기록하고 있다. 이를 타개하기 이란은 플랜트 개발을 늘릴 수밖에 없다. 조주형 교보증권 연구원은 "서방국가와 관계가 호전된다면 이란의 경제개발 수요에 따른 수주가 증가할 수밖에 없을 것"이라며 "핵 관련 이슈가 불거지기 전에 이란은 석유·가스 플랜트 발주가 많은 국가였지만 최근에는 (발주가) 없었다"고 말했다. 2009년 이후 국내 건설기업이 이란에서 신규 수주에 성공한 사례는 없다. 국내 건설사 가운데 이란에서 개발 사업을 수행하고 있는 곳은 D사가 유일하며 이 회사 역시 2007~2009년 사이 수주한 총 4건(15억달러)의 프로젝트를 진행하고 있다.
에너지·조선·해운·자동차 분야의 거래가 재개될 것으로 기대된다. 해운 서비스가 중단되면서 제재 대상 품목 여부를 떠나 이란으로의 수출 자체가 어려워진 점도 해소된다. 해운 서비스의 중단으로 배를 구하기 힘들게 되면서 결과적으로 비(非)제재 대상 품목 수출기업도 피해를 봐왔다. 이와 함께 금속원료·반제품 거래 규제로 차질을 빚던 철강ㆍ자동차 등의 수출 길도 다시 열리게 됐다.
산업연구원은 핵 타결에 따른 제재 완화에 따른 유망 업종으로 자동차 및 부품, 정유와 석유화학 플랜트, 의료기기, 고효율 전자기기 등을 꼽았다. 중소 제조업 투자도 수요가 있을 것으로 내다봤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