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공공기관 연봉 5839만원 "과연 신의 직장"

자료사진

-평균임금 민간보다 1.5배 많아 공공기관의 임금 수준이 민간기업보다 1.5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정부는 이 결과를 향후 공공기관 임금 정책 수립에 반영해 임금상승 속도를 늦출 방침이다. 19일 한국조세연구원 공공기관정책연구센터에 따르면, 전체 공공 기관 종사자의 1인당 평균임금은 5,839만원으로 민간기업 3,813만원보다 1.53배 많았다. 사업체 규모별로는 300인 이상 공공기관의 평균임금이 5,864만원으로 같은 규모 민간기업(5,163만원)보다 1.14배 많았다. 30~299인 공공기관은 5,533만원으로 민간기업(3,503만원)의 1.58배였다. 규모가 클수록 공공기관의 절대임금은 높아지지만 민간기업과의 상대임금 격차는 크지 않은 반면, 규모가 작을수록 절대임금은 적고 민간기업과의 상대임금 차이가 더 크게 벌어진 셈이다. 산업별로는 전체 17개 산업분야 가운데 운수업이 민간기업보다 1.97배 많아 상대임금이 가장 높았다. 이어 하수폐기물ㆍ환경복원업(1.76배), 협회ㆍ단체ㆍ수리ㆍ기타 개인서비스업(1.68배), 제조업(1.67배), 광업(1.53배), 건설업(1.50배), 금융보험업(1.08배)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도소매업(0.92%), 사업시설관리ㆍ사업지원서비스업(0.92%), 교육서비스업(0.94%) 3개 분야는 민간보다 낮았다. 300인 이상 공공기관의 절대적인 임금수준을 보면 1인당 평균 임금이 가장 높은 분야는 전기ㆍ가스ㆍ수도ㆍ중기사업으로 평균임금이 7,468만원이었다. 전문ㆍ과학기술서비스업(6,431만원), 제조업(6,308만원), 금융보험업(6,176만원), 건설업(6,143만원)이 뒤를 이었다. 반면 민간기업은 교육서비스업이 7,336만원으로 1위를 차지했고, 전기ㆍ가스ㆍ수도ㆍ중기(6,526만원), 금융보험업(6,298만원), 건설업(5,891만원), 전문ㆍ과학기술서비스업(5,717만원) 순이었다. 이번 조사는 공공기관 285곳을 대상으로 실시됐다. /김능현 기자 nhkimchn@sed.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