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제조업 체감경기 '쌀쌀'...한달만에 하락

세밑 제조업계 체감경계가 꽁꽁 얼었다.

한국은행은 12월 제조업의 업황 기업경기실사지수(BSI)가 73으로 전월보다 2포인트 떨어진 것으로 조사됐다고 29일 밝혔다.


이 지수는 조사 시점에 세월호 참사 영향이 본격화하지 않은 지난 4월 82에서 8월 72까지 내리막길을 걷고서 9월 74→10월 72→11월 75 등 최근에는 오르내림을 반복하고 있다.

박성빈 한은 기업통계팀 차장은 “최근 몇 개월간은 체감경기의 추세가 뚜렷하지 않은 상황”이라고 평가했다.

BSI는 기업이 느끼는 경기 상황을 지수화한 것으로, 지수가 100을 밑돌면 경기를 나쁘게 보는 기업이 좋게 보는 기업보다 많다는 뜻이고 100을 넘으면 그 반대를 의미한다.

기업 유형별로 보면 수출기업의 BSI는 전월 72에서 76으로 올랐고 내수기업(76→71)은 하락세를 보였다.


기업 규모별로는 대기업(78→77)과 중소기업(71→69) 모두 떨어졌다.

관련기사



조사에 참여한 업체들이 꼽은 경영애로 사항 중 ‘내수 부진’은 11월 24.1%에서 12월 25.5%로 응답률이 높아지고 ‘경쟁심화’(11.6%→13.1%)도 응답 비중이 커졌다. 수출부진(11.2%→8.6%)과 환율(11.0%→8.9%)은 응답률이 낮아졌다.

비제조업의 업황 BSI는 69로 전월보다 2포인트 상승했다.

소비자심리지수(CCSI)까지 포괄해 민간의 체감경기를 종합적으로 보여주는 경제심리지수(ESI)는 93으로, 전월보다 1포인트 하락했다.

부가적으로 조사된 새해 제조업 업황 전망 BSI는 올해 실적 BSI(72)보다 11포인트 높은 83으로 조사됐다.

대기업(75→84)과 중소기업(69→81), 수출기업(69→84)과 내수기업(74→82) 모두 내년 전망치가 올해 실적보다 높았다.

특히 매출 전망 BSI는 117로 올해 실적 BSI(88)보다 29포인트나 높게 나타났다.

비제조업의 내년 업황 전망 BSI도 72로, 올해 실적(70)보다 2포인트 높았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