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李부총리, 경제 '확실한 회복' 땐 물러날듯

靑 '신임'불구 자존심 상처 늦어도 하반기초 사임 관측<br>투기의혹에 리더십 큰타격…부동산정책 추진력도 의문

이헌재 부총리 겸 재정경제부 장관은 어느 관료보다 자존심을 중요하게 여긴다. 강력한 카리스마로 시장을 이끌어왔고 ‘이헌재 사단’이라는 명칭으로 불릴 만큼 리더십을 발휘해왔다. 그런 이 부총리에게 부동산투기 의혹은 후배인 유지창 산업은행 총재에게 사의를 표시할 만큼 자존심에 심각한 타격을 가했다. 이 부총리의 한 측근은 “지난 79년 ‘율산사태’와 지난해 국민은행 자문료 파문 등을 거치면서 부총리가 도덕성에 알레르기를 보일 정도가 됐다”고 말했다. 그렇기 때문에 지난 2일 오전 청와대 측에서 ‘신임’ 방침이 나왔지만 이날 밤까지도 이 부총리는 자신의 거취를 놓고 고민을 거듭했다고 재경부의 한 관계자는 전했다. 투기 의혹이 불거진 지 만 나흘째인 3일 오후 대통령에 대한 업무보고를 마친 후 기자들 앞에 선 이 부총리는 ‘송구’라는 표현으로 부동산투기 의혹에 대한 자신의 입장을 피력했다. 그는 “이번 사태에 대해 안타깝게 생각하지만 개인의 문제로 국정운영에 차질을 주는 상황이 와서는 안 된다”며 자리를 지키겠다는 뜻을 공식적으로 밝혔다. 하지만 이 부총리가 경제수장 자리를 굳건히 보장받았다고 여기는 시각은 그리 많지 않다. “(경제가 확실히 나아졌다는 징후가 보이면 물러나겠으니) 시간을 조금만 더 달라”고 했다는 게 오히려 맞는 표현일 듯하다. 이 부총리는 지난해 자문료 파문 이후 사의표명설이 나올 당시 서울경제신문 등과의 심야 인터뷰에서 “할 일이 남았다. 물러날 때가 되면 스스로 물러난다”며 경제가 호전될 때쯤이면 물러나겠다는 뜻을 밝혔었다. 과천 주변에서는 이르면 오는 4월 재보선 이후로 예상되는 개각시점, 늦어도 하반기 초 이 부총리가 자연스럽게 사임하지 않겠느냐는 의견을 조심스럽게 내놓고 있다. 그때쯤이면 경기지표도 본격적인 상승곡선을 그릴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이다. 결국 관건은 그때까지 경제수장으로서의 리더십을 어떻게 유지해나갈 것이냐이다. 무엇보다 경제정책의 가장 큰 도구 중 하나로 떠오른 부동산 부문에서 추진력을 발휘할 수 있을지가 미지수다. 종합투자계획과 기업도시 선정과정에서 나타날 일부 지역의 투기 움직임에 효율적으로 대처하기도 쉽지 않다. ‘상처받은 리더십’을 이 부총리가 어떻게 복구하느냐에 따라 경제회복 속도도 판가름날 것이라고 전문가들은 입을 모으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