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전국 미분양 7만가구 넘었다

IMF이후 7년만에 최고치…지방 6만여가구로 87% 차지


전국 미분양주택이 7만가구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IMF사태 여파로 미분양이 가장 극심했던 지난 99년(7만813가구) 이후 가장 많은 수치다. 2일 건설교통부가 내놓은 ‘2006년 7월 말 현재 전국 미분양 주택현황’에 따르면 미분양주택은 7만280가구로 한달 전(6만4,365가구)에 비해 9.2%(5,915가구) 늘었다. 특히 지방이 6월보다 11.1%나 늘어난 6만1,132가구로 전체 미분양 물량의 87%를 차지한 반면 수도권은 9,148가구로 2.1% 감소했다. 시ㆍ도별로는 경남이 6월보다 32.5%가 늘어 1만2,431가구로 최다였으며 부산 9,070가구(전월 대비 39%), 경기 7,406가구(-2.3%), 충남 7,147가구(1.5%), 대구 6,654가구(8%) 순이었다. 부문별로는 민간이 6만6,516가구로 10% 늘었지만 공공은 3,764가구로 3.8% 줄어 민간이 주택분양에 큰 어려움을 겪는 모습이었다. 주택 규모로는 전용 18~25.7평 이하가 3만8,489가구, 25.7평 초과 2만4,198가구, 18평 미만 7,593가구였다. 실제 주택경기를 반영하는 ‘준공 후 미분양’은 지방의 증가세(6.4%)로 인해 1만2,807가구로 4.6% 증가했다. 7월 미분양 주택이 이처럼 불어난 것은 부산 기장과 경남 김해에서 3,127가구, 2,187가구가 각각 증가했기 때문인데 특히 부산 정관택지지구에서는 분양주택(4,476가구) 중 3,127가구가 미계약 가구로 남았다. 건교부 관계자는 “연간 신규 주택 공급물량이 50만가구에 달하고 주택 재고수가 계속 늘고 있는 점 등을 감안할 때 이 같은 미분양 물량은 과다하다고 단정할 수 없다”며 “오히려 주택시장의 완충지대로 시장 기능에 의한 수급 조절, 높은 분양가의 자율조정 등 효과도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한 업체 관계자는 “정부의 서울 강남을 겨냥한 주택정책으로 투기와는 큰 상관이 없는 지방의 부동산 경기가 죽었기 때문”이라며 “서울의 기준으로 만든 부동산투기대책에서 지방은 제외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