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인터넷 아파트 시세 믿지 마세요"

업체들 정부 눈치보기에 집값 급등땐 나눠서 올려<br>표시가와 실거래가 큰 차…"발품팔아 현장 확인해야"

정부의 ‘11ㆍ15대책’ 발표 후 거래가 한산한 가운데 인터넷에서 제공하는 아파트 가격과 실제 거래가격의 차이가 커 수요자들에게 혼란을 주고 있다. 26일 부동산업계에 따르면 최근 아파트 가격을 제공하는 인터넷 시세와 실제 가격에 차이가 벌어지면서 매수시점을 저울질 하는 수요자들을 헷갈리게 하고 있다. 단순히 금액만 차이 나는 것이 가격이 보합이거나 호가가 떨어진 곳까지 상승하고 있는 것으로 나오기 때문이다. 이는 민간 시세제공업체들은 물론 정부가 공식통계로 활용하는 국민은행 시세도 마찬가지다. 중개업소들은 인터넷 시세와 실제 거래가격의 차이는 불가피하다고 설명하고 있다. 시세 조사기관과 정부의 눈치를 봐야 한다는 것이다. 강남의 한 중개업소 사장은 “국민은행 등 시세 조사기관이 가격을 한꺼번에 올리지 말라고 주의를 줘 10월부터 11월 초까지 급등한 가격을 몇 주에 걸쳐 나눠서 올리다 보니 이런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며 “실제 시세를 맞춰가는 과정이 길어지다 보니 보합세인 지난 주에도 가격이 상승한 꼴이 된 것”이라고 설명했다. 시세 조사업체들도 어려움으로 토로하긴 마찬가지다. 한 정보업체 관계자는 “시세를 단기에 너무 높게 올리면 정보업체가 시장 불안의 주범으로 몰린다”며 “정부 눈치가 보여 일부러 시세를 조금씩 올리다 보니 시장 흐름을 제때 반영하지 못하는 경우가 있다”고 인정했다. 이 관계자는 “담합 기미가 있는 곳은 가격 조정이 불가피하고, 일부 중개업소는 문의전화를 많이 받기 위해 인위적으로 가격을 낮추기도 한다”고 덧붙였다. 한 부동산 전문가는 “아파트 시세는 주가와 달리 사람에 의존하기 때문에 구조적으로 정확성에 한계가 있다”며 “인터넷 시세는 참고만 하고, 실제 거래가는 반드시 발 품을 팔아 현장에서 확인하는 게 안전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