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주요 신흥국 외환보유액 사상 최대

상위 10개국 1년새 15% 늘어… 韓·대만 등은 2.4배나


중국 등 주요 신흥국가들의 외환보유액이 사상 최대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신흥국가들이 수출 증진을 위해 자국 통화의 약세를 유도해왔고 전세계 경기의 회복둔화 흐름에도 불구하고 가파른 성장세를 보이자 해외 투자자금이 유입된 결과로 해석된다. 23일 니혼게이자이(日本經濟)신문은 외환보유액 기준 상위 10개국들의 지난 6월말 현재 보유액이 전년 동기에 비해 15.3% 늘어난 5조8,400억 달러로 사상 최대규모를 기록했다고 보도했다. 특히 상위 10개국 중에서 일본과 스위스를 제외한 브릭스(브라질, 러시아, 인도, 중국) 국가들과 대만, 한국, 싱가포르 등의 외환보유액 총합은 전년에 비해 2.4배나 증가했다.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이들 국가는 올 상반기에 자국통화 약세를 위해 달러를 사들였다는 공통점이 있다"고 분석했다. 브라질과 홍콩의 외환보유액은 이 기간에 각각 25.6%, 24.1% 증가했으며 한국도 2,700억 달러로 18.3% 늘어났다. 전세계 1위의 중국의 외환보유액은 2조4,500억달러를 기록, 15.1% 증가했다. 반면 일본의 경우 1조500억 달러로, 3.0% 증가에 머물렀다. 신흥국가들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자국 통화 가치가 크게 떨어지자 환율방어 차원에서 달러 매도에 적극 나서면서 외환보유액이 크게 줄어들었다. 그러나 이후 수출을 늘리기 위해 자국 통화 약세를 겨냥, 외환시장에서 달러매수 등의 개입을 하면서 외환보유액은 증가세로 돌아섰다. 또 선진국과 비교되는 높은 성장세로 해외 투자자금이 활발히 유입되면서 자국 통화의 절상요인이 되는 점도 신흥국가들의 시장 개입을 부채질하는 요소라고 니혼게이자이신문은 설명했다. 신흥국가들의 증가하는 외환보유액은 최근의 글로벌 환율 전쟁의 한 배경이 되고 있다. 외환보유액의 절반 이상을 달러 자산이 차지하기 때문에 이들 국가는 보유외환의 가치를 지키기 위해 자국통화의 절하를 통한 달러가치의 상승을 도모하고 있다. 전문가들은 반면 신흥국가들의 이 같은 '자국 통화 절하경쟁'이 미국 금리의 안정에 도움을 주고 있다고 분석한다. 신흥국가들이 지속적으로 달러 매수를 실시하면 미 채권시장 등에 자금이 꾸준히 유입되어 사상 최저치인 미 장기금리가 현 수준을 유지할 수 있는 버팀목을 제공해준다는 것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