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사립대 예산 등록금 의존도 최고 85%

세종대 최고, 연세대는 31.7%로 최저… 재단전입금 비중은 1.4∼34%에 그쳐

주요 사립대의 총수입 중 등록금 비중은 최고 85%에 달하는 반면 재단전입금(기부금 포함) 비중은 적게는 1.4%에 불과한 것으로 밝혀졌다. 대학 등록금과 전입금 비중이 구체적으로 확인된 것은 이번이 처음이어서 등록금 인상을 둘러싼 학생과 학부모들의 반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주목된다. 28일 한국사학진흥재단과 교육인적자원부에 따르면 학생 수가 1만명 이상인 서울의 19개 사립대의 2005년 총수입(본예산 기준) 중 등록금 및 재단 전입금 비중을분석한 결과 등록금 비중은 85%∼31%, 재단 전입금 비중은 34%∼1.4%로 집계됐다. 대부분 학교에서 등록금은 재단 전입금, 산학협력 수입, 국고보조금 및 교육 부대수입, 단기 수강료 등을 제치고 수입 비중에서 단연 1위를 차지했다. 등록금 비중이 절반이 넘는 학교가 13곳인데 비해 전입금 비중이 10%를 넘는 학교는 6곳에 그쳤고 5곳은 전입금 비중이 5%에도 못 미쳤다. 등록금 비중이 가장 높은 곳은 세종대로 908억원의 예산 중 등록금 수입은 85.0%인 772억여원이었고 다음이 홍익대(75.8%), 중앙대(69.6%), 동국대(69.1%), 한국외대(68.3%) 순이었다. 연세대는 6천430억원 예산 가운데 등록금이 2천478억여원(31.7%)으로 등록금 비중이 가장 낮았고 이화여대(41.0%), 성균관대(41.5%), 서강대(44.4%), 고려대(47.7%)순으로 뒤를 이었다. 특히 등록금이 가장 비싼 것으로 알려진 이화여대는 등록금 비중이 상대적으로낮은 점이 눈에 띄었고, 올해 가장 높은 등록금 인상률(12%)을 기록한 연세대는 등록금 비중이 가장 낮은 것으로 파악됐다. 재단 전입금 및 기부금 비중은 등록금보다 훨씬 낮았다. 연세대만 전입금 및 기부금이 2천718억원으로 수입 대비 비율이 34.7%로 유일하게 등록금 비중(31.7%)보다 높았고 나머지 학교는 전입금 규모가 등록금보다 크게적은 것으로 나타났다. 연세대 다음으로 전입금 비중이 높은 곳은 성균관대(23.8%), 고려대(19.8%), 건국대(17.9%), 한양대(13.4%) 순이었고, 성신여대(1.4%), 세종대(2.6%), 광운대(2.9%), 서강대(2.9%), 숙명여대(4.7%)는 전입금 비중이 5%를 밑돌았다. 이에 따라 각 대학이 등록금 의존도를 낮추고 수익구조를 다양화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높다. 한국사학진흥재단 김영찬 대학경영지원팀장은 "등록금 의존도가 높은 상황에서는 학생에 대한 투자가 제대로 이뤄질 수 없고 대학의 `빈익빈부익부' 현상을 심화시킨다"고 지적했다. 교육부 관계자도 "수입 재원은 학교마다 다를 수밖에 없지만 등록금 의존도를낮춰 등록금 인상에 따른 불만을 누그러뜨리는 게 중요하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