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여야 "派兵보다 인도적 지원 바람직"

영수회담 조속 추진위해 실무진 접촉나서여야 지도부가 17일 미 테러 대참사에 대해 초당적 협력을 다짐했다. 하지만 상당한 여야의원들은 테러범에 대해 마땅히 응징해야한다면서도 구체적인 보복행위의 경우 신중한 입장을 취해야한다는 지적도 나오고있다. 민주당 한광옥 대표와 한나라당 이회창 총재는 이날 미국의 테러사건 여파에 대한 초당적 협력과 여야간 대화 필요성에 의견을 같이 했다. 여야의원들은 또 미국의 테러응징 공격이 임박한 가운데 이번 사태가 전쟁으로 확산될 가능성에 대해서는 민간인 피해를 우려, 전투병 파병 보다는 의료지원단ㆍ수송단 등 '인도주의 차원'의 지원에 국한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이에 따라 민주당은 이날 미국의 테러응징 공격이 국제경제에 심대한 파장을 미칠 가능성이 크다고 보고 국민을 안심시키기 위한 초당적 협력을 추진키로 하고 정쟁중지와 국회내 비상대책기구 구성을 한나라당에 제의했다. 민주당은 또 여야영수회담의 조속한 성사를 위해 김명섭 사무총장이 한나라당 김기배 사무총장을 접촉하는 등 영수회담 준비접촉에 본격 나서기로 했다. 이와함께 여ㆍ야ㆍ정 경제정책협의회와 남북정책협의회 등의 개최도 추진키로 했다. 한 대표는 이날 오전 신임 인사차 여의도 한나라당사로 이회창 총재를 방문, "여야가 원활한 대화를 통해 난국을 풀 수 있도록 협조해달라"며 "특히 미국 테러사건에 대한 초당적 협력을 당부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이 총재는 "국난의 시기엔 여야가 따로 있을 수 없고 미국 테러사건때는 김대중 대통령께 전화도 했다"며 "앞으로 국가를 위하는 일에는 협력을 아끼지 않겠다"고 말했다. 그러나 이 총재는 "동시에 정치적인 문제는 정치적 문제대로 짚고 넘어가면서 정도를 걸어나가겠다"고 덧붙였다. 민주당 이낙연 제1정조위원장은 이날 "미국으로부터 파병요청이 있다 해도 걸프전의 전례가 있어서 난처할 것은 없다"며 신중론을 편뒤 "그러나 미국이 작전 효율성과 기밀 누출 등을 감안할 때 언어가 통하지 않는 한국군 전투요원을 투입할 가능성은 없다"고 내다봤다. 민주당 추미애 의원은 "군사적 차원보다는 인도주의적 지원이 돼야 한다"며 전투요원 파병에 대해 반대입장을 밝혔고 한나라당 윤여준 의원도 "미국이 이번 테러로 군도 아닌 민간인이 많이 살상됐기 때문에 응징은 주권국가로서 당연한 권리이지만 응징방법과 규모는 상당히 신중해야 한다"고 말했다. 특히 한나라당 서상섭, 윤여준 의원은 "의료지원단과 수송단 등 인도적 차원의 참여는 몰라도 전투병력을 파병할 정도의 사안은 아니다"고 못박았다. 국회 국방위 소속 민주당 장영달 의원도 "라덴이 테러주범으로 확정된다 하더라도 라덴 한 사람을 색출하기 위해 전쟁까지 치러야 하느냐 여부는 생각해볼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양정록기자 구동본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