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오늘의 경제소사/9월29일] <1202> 국제커피협정


1962년 9월28일 미국 뉴욕. 커피 생산국과 소비국들이 모여 약속을 했다. 이름하여 국제커피협정의 골자는 생산할당제 도입. 기후변화에 따라 작황의 차이가 크고 가격도 들쭉날쭉한 커피 원두의 가격을 안정시키기 위해 생산량을 연간 4,560만부대(한 부대=60㎏)로 잡고 주요국에 할당량을 내려줬다. 가장 많은 쿼터를 받은 국가는 예나 제나 최대 생산국인 브라질로 1,800만부대가 할당됐다. 협상을 주도한 유엔 경제사회이사회는 이듬해인 1963년 국제커피기구(ICO)까지 발족시켰다. ICO에 의해 국제커피협정은 1968년부터 2007년까지 6차례나 개정됐으나 가격과 시장 안정이라는 목표에는 변함이 없다. 회원국들도 국제커피협정의 틀 속에서 꾸준한 성장을 누릴 수 있었다. 적어도 1989년 협정이 무력화하기까지는. 국제커피협정이 무너진 이유는 크게 세 가지. 대풍이 수년간 이어진 가운데 베트남이 본격적으로 커피 경작지를 대폭 늘린데다 미국이 1989년 협정에서 탈퇴했기 때문이다. 제3세계 국가들의 소련권 편입을 막기 위해 비싸게 커피 값을 쳐주던 미국이 탈퇴하며 자유거래를 선언한 뒤부터 커피 가격과 커피 농가의 삶은 하락 일변도였다. 가장이 혼자 일해 먹고 교육까지 시킬 수 있었던 커피 농가는 부부는 물론 아이들까지 학업을 접고 하루 종일 커피를 따며 겨우 연명하고 있다. ‘인간의 얼굴을 한 시장경제’라는 공정무역(fair trade)도 커피 농가의 실상이 알려지며 더욱 넓게 퍼졌다. 최근에는 원자재와 곡물가 상승 바람을 타고 원두 가격이 폭등하고 있으나 차익은 대부분 중간상인과 스타벅스 같은 다국적 커피업자들에 돌아간다. 국제커피협정이 처음 맺어졌던 44년 전보다 나아진 것은 과연 무엇일까.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