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KBS 인사 개입 논란' 정국 새뇌관 되나

野 국정조사 요구등 공세 강화

청와대의 KBS사장인사 개입 논란이 전방위로 확산되고 있다. 청와대ㆍ여당과 야당이 관련 의혹의 진위를 놓고 공방의 수위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국정조사론이 고개를 들고 있어 정국 불안이 재개되는 게 아니냐는 우려마저 사고 있다. 이번 인사개입 논란이 확산된 것은 청와대와 여당의 잇따른 해명이 모호한 데에서 기인한다는 게 정치권의 평가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지난 17일 최시중 방송통신위원장과 정정길 대통령 실장,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이 유재천 KBS이사장, 김은구 전 KBS이사 등과 회동한 것을 놓고 "KBS 공영성 회복과 방만경영 해소책 등을 듣는 자리였다"고 해명했다. 한나라당 역시 차명진 대변인 논평을 통해 "(KBS가) 공영방송으로서 나아가야 할 길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는 자리였을 뿐"이라고 의혹 진화에 나섰다. 또 "정부와 여당은 KBS 사장이 국민이 납득할 만한 분이 돼야 한다는 생각"이라며 "(인사에) 관여할 생각은 전혀 없다"고 강조했다. 하지만 야당의 추궁은 계속됐다. 김유정 민주당 대변인은 24일 언론브리핑을 통해 회동에 김 전 이사가 참석한 것을 지적하며"그런 자리에 5명의 (후임 사장) 압축 후보중 한 사람이 왜 참석했어야 했는지 이유를 밝히라"고 지적했다. 그는 최 위원장 등의 회동을 "잘못된 만남"이라고 꼬집으며 "사실상 후임사장을 면접하는 자리였다는 지적이 있다"고 전하기도 했다. 자유선진당과 민주노동당 역시 청와대의 해명에 "해괴하다", "납득할 수 없다"며 강력 반발했다. 야당은 이와 관련해 국정조사 요구까지 하고 있다. KBS사장 인사문제가 겨우 마무리된 쇠고기 파문 이후 정국을 표류시킬 뇌관으로 작용할 것이란 우려도 나온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