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전자·조선·건설 부문등 한국 첨단 기술 사고싶다"

방한 알리예프 아제르바이잔 산업에너지부 장관

카스피해의 산유국인 아제르바이잔 나틱 알리예프(57) 산업에너지부 장관이 “한국의 최첨단 기술을 사고 싶다”고 밝혔다. 방한 중인 알리예프 장관은 지난 18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인터컨티넨탈호텔에서 가진 인터뷰에서 “오일머니로 자금력은 넘친다”면서 “한국의 건설업체가 정유공장 등 플랜트 건설에도 참여하기 바란다”고 말했다. 아제르바이잔은 연간 2억5,000만배럴(2006년)을 생산하는 주요 산유국으로 알리예프 장관은 “내년까지 생산량을 추가로 1억2,000만배럴 늘리고 오는 2010년까지는 2배인 5억배럴까지 산유량을 늘리겠다”고 말했다. -첫 한국 방문이다. △ 다양한 기업을 견학하고 정보를 얻으려 한다. 아제르바이잔도 한국처럼 이른 시일 내에 철강ㆍ기계ㆍ조선 등 중공업과 가전 등 경공업 발전을 이루고 싶다. -가장 인상이 남았던 곳은. △ 삼성전자와 STX조선소다. 함께 온 냉장고 업체 사장은 삼성의 기술을 보고 즉각 합작이나 기술 구매를 원했다. 국내 냉장고 공장을 살리고 싶지만 기술이 없다. 삼성 등 한국기업이 투자나 합작을 한다면 최대한 혜택을 줄 것이다. 조선업과 해운업에도 관심이 많은데 STX조선이 단시일 내에 세계적 기업으로 성장한 것도 인상적이다. -양국간 경제협력 진행상황은. △ 한국은 카스피해 석유개발에 관심이 많다. 석유공사의 이남광구 지분매입 협상은 내년 초 우리 대통령이 한국을 방문할 때까지는 마무리될 것이다. (석유공사(40%)를 주축으로 GS칼텍스(20%), 경남기업(20%), STX(10%), 대우인터내셔널(10%)이 포함된 한국 컨소시엄은 추정매장량 5억배럴의 이남광구 지분 20% 인수를 추진 중이다.) -에너지 분야 이외의 협력 사업은. △ 오래된 정유공장의 리모델링과 추가 건설에 한국 건설업체가 참여하기를 바란다. 또 노후화된 화력발전소의 개선과 운영에도 한국 기업이 뛰어들었으면 좋겠다. 비석유 분야에선 첨단기술이나 라이선스의 구입을 원한다. 자금력은 충분하다. 단 최첨단 기술이어야 한다. -향후 유가는 어떻게 보나. △ 석유는 한정된 자원이고 개발비용 및 투자비가 계속 상승하고 있어 유가도 계속해서 오를 수밖에 없다. 적정유가는 배럴당 50~55달러 사이라고 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