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위안貨 유연성 확대 필요"

G7회담 폐막…美·日 입김에 '엔 약세' 경고는 끝내 외면

선진7개국(G7) 재무장관 및 중앙은행 총재 회담이 중국 위안화 유연성 확대와 헤지펀드 위험에 대한 경고를 담은 공동선언을 채택했다. 하지만 관심의 초점이 됐던 ‘엔 약세’에 대해서는 미국의 반대로 공동선언에서 배제됐다. 이에 따라 엔화 가치는 당분간 약세 기조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되고 있다. 의장국인 독일을 비롯한 G7 참가국들은 10일(현지시간) 이 같은 내용을 골자로 하는 공동선언을 발표하고 폐막했다. G7은 이날 성명에서 “환율은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해야 한다는 기존 입장을 재확인한다”며 “환율의 지나치고 무질서한 변동은 경제성장에 바람직하지 않다”고 지적했다. 성명은 또 “이머징마켓, 특히 중국의 경상수지 흑자가 큰 폭으로 증가하고 있다”며 “효율적인 환율 변동이 바람직하며 조절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전문가들은 이번 공동성명에서 밝힌 환율에 대한 강조는 지난해 9월 싱가포르 회담 때와 비슷한 수준이라고 분석했다. G7은 헤지펀드에 대해서는 직접적인 규제방안을 도입해야 한다는 독일과 프랑스의 주문에 미국과 영국이 반대함에 따라 위험성 경고라는 ‘원론 수준’을 넘지 못했다. 공동성명은 “헤지펀드가 금융시스템의 효율성을 높이는 데 중요한 공헌을 했다”면서도 “헤지펀드 산업의 강한 성장은 경계할 필요가 있다”고 경고했다. 관심을 모았던 ‘엔 약세’에 대한 경고는 이번 회담에서 일어나지 않았다. 공동성명은 “일본 경제가 회복 중이며 (이러한 회복세가) 앞으로도 계속될 것으로 예상된다”고 말했을 뿐이다. 이와 관련, 로이터통신은 ‘엔 약세에 대한 경고’가 빠진 것은 헨리 폴슨 미국 재무장관이 회의 기간 내내 “엔보다는 위안화가 더 큰 문제이며 엔화는 자유롭게 환율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다”고 지적, 일본의 입장을 적극 지지했기 때문이라고 전했다. 일본의 오미 고지 재무상이 “엔화는 경제 펀더멘털을 반영하고 있다”고 강력 주장한 것도 공동성명에서 ‘엔 약세’ 문제가 빠진 이유라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