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美 유학생이 고효율 연료전지 개발

남가주대 안정민씨 '네이처'에 연구논문 실려<br>기존 제품보다 50~100배 효율

해외유학 중인 한국인 과학도가 현재 널리 쓰이는 휴대형 배터리보다 50∼100배의 효율을 가진 연료전지를 개발, 실용화하는 데 성공했다. 미국 남가주대(USC) 항공우주공학 박사과정에 재학 중인 안정민(32)씨는 전기에너지를 발생시킬 때 필요한 열을 스스로 만들고 이때의 온도를 크게 낮춤으로써 기존 ‘고체 산화형 연료전지’의 단점을 해결, 실용화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안씨의 연구논문은 세계적인 과학저널 ‘네이처’ 9일자에 실렸다. 현재 휴대전화 등에 널리 쓰이는 리튬이온 배터리보다 50∼100배의 효율을 가져 주목받고 있는 메탄올 배터리는 메탄올의 고분자막 투과성과 습도변화 민감성 등으로 실용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메탄올 배터리의 대안으로 등장한 고체 산화물형 연료전지도 어디서나 쉽고 값싸게 구할 수 있는 프로판ㆍ부탄가스 등을 연료로 이용하면서 메탄올 배터리의 단점을 해결했지만 여전히 실용화의 벽에 부딪혀 있었다. 안씨는 하지만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단점을 완전히 해결함으로써 고체 산화물 연료전지의 실용화에 성공, 현재의 리튬이온 배터리가 쓰이고 있는 휴대전화, 휴대용 카메라, PDA 등 휴대용 전자제품에 널리 활용될 전망이다. 그는 “앞으로 단추정도로 크기를 줄이면서 여러 개의 연료전지를 합침으로써 초소형 고용량 연료전지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