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한·중·일 정상회의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 필요" 공감

민관대표 참여 '신재생 에너지 포럼' 내년 中서 열기로<br>'3개국 협력 증진위한 행동계획' 작성<br>FTA 공동연구·물류협력 증진도 합의

‘아세안 +3’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이 숙소인 하이야트호텔에서 원자바오(왼쪽) 중국 총리와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와 함께 제8차 한ㆍ중ㆍ일 정상회의 개최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최종욱기자

한·중·일 정상회의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 필요" 공감 민관대표 참여 '신재생 에너지 포럼' 내년 中서 열기로'3개국 협력 증진위한 행동계획' 작성FTA 공동연구·물류협력 증진도 합의 김영기 기자 young@sed.co.kr ‘아세안 +3’ 정상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노무현 대통령이 숙소인 하이야트호텔에서 원자바오(왼쪽) 중국 총리와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와 함께 제8차 한ㆍ중ㆍ일 정상회의 개최에 앞서 기념촬영을 하고 있다. /싱가포르=최종욱기자 노무현 대통령과 원자바오 중국 총리, 후쿠다 야스오 일본 총리는 한반도의 종전 선언에 이르는 평화체제 협상이 필요하다는 데 인식을 같이 하는 한편 유가급등에 대처하기 위해 3국 민관 대표들이 참여하는 '신재생 에너지포럼'을 내년에 중국에서 열기로 합의했다. '동남아국가연합(아세안)+3(한ㆍ중ㆍ일)'정상회의 참석을 위해 싱가포르를 방문 중인 3국 정상은 20일 회동을 갖고 남북정상회담과 북핵 문제 해결 노력 등을 통해 한반도 정세가 진전돼가고 있음을 평가하면서 이같이 의견을 모았다. 3국 정상은 앞으로 적절한 시기에 3개국 내에서 '한ㆍ중ㆍ일 정상회의'를 다시 한번 갖기로 했다. 이 자리에서는 특히 노 대통령이 종전 선언을 위해 추진 중인 남ㆍ북ㆍ미ㆍ중 4개국 정상선언과 관련, 원 총리가 "한반도 평화체제 협상을 지지한다. 중국은 한반도 정전협정의 당사국으로서 평화체제 협상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며 4자 정상선언에 대한 포괄적 지지의사를 밝혀 주목된다. 청와대의 한 관계자는 "평화협상이란 표현은 실질적으로 4자 정상회의를 의미하는 것"이라고 언급, 당사국간 물밑 협의가 본격화하고 있음을 내비쳤다. 우리 정부는 내년 1월 개성에서 남ㆍ북ㆍ미ㆍ중 4개국 정상이 '종전을 위한 선언'을 위해 회동하거나 별도 성명을 내는 방안을 추진 중인 것으로 알려지고 있으며 핵심 열쇠를 쥐고 있는 중국이 지지 입장을 밝힘에 따라 종전 선언에 한층 탄력이 붙게 됐다. 3국 정상은 또 '3국간 협력 증진을 위한 행동계획'을 작성하기로 하는 한편 경제협력을 증진시키기 위해 3국간 자유무역협정(FTA) 공동연구를 계속하고 투자협정 협상 가속화와 물류협력 증진 등에 노력하기로 했다. 노 대통령은 이어 지난 9월 취임한 후쿠다 총리와 취임 후 첫 단독 정상회담을 갖고 양국 관계 발전과 북핵 문제 등에 대해 의견을 교환했다. 노 대통령이 "김정일 북한 국방위원장이 북ㆍ일 관계 정상화 필요성을 분명하게 인식하고 있다"며 북ㆍ일 관계 개선을 통해 동북아 긴장이 완화되기를 바란다는 입장을 전달하자 후쿠다 총리는 "일ㆍ북 대화를 통해 납치문제, 과거청산 문제 등 일본과 북한의 제반 현안을 해결해나가려 한다"고 답했다. 입력시간 : 2007/11/20 17:40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