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주총서 의결권 행사' 선언 미래에셋 안건별 세부지침 공표

사외이사 확대엔 "찬성" 이사후보 일괄투표 "반대"<br>경영권 분쟁·배당엔 장기성장성 위주 판단

자산운용사 등 기관의 의결권 행사가 올해 주주총회의 최대 이슈로 떠오른 가운데 자산운용 업계 1위인 미래에셋자산운용이 12일 의결권 행사 세부지침을 마련해 공표했다. 자산운용 업계에서 의결권 행사와 관련해 주총 안건별 세부지침을 마련한 것은 이번이 처음으로 미래에셋의 파괴력을 감안하면 다른 운용사에도 상당한 영향을 미칠 것으로 전망된다. 미래에셋은 42개 상장사 지분을 5% 이상 가졌으며 이번 주총에서 표대결 가능성이 있는 동아제약과 한진해운 지분도 지난해 말 기준으로 각각 8.42%, 9.37%씩 보유하고 있다. 이날 미래에셋이 밝힌 세부지침에서는 이사회 의장과 최고경영자(CEO)의 직책을 분리하는 안에 찬성하고 정당한 사유 없이 이를 합치는 안건에 대해 반대하기로 했다. 또 사외이사의 비중을 높이는 안건에 찬성하고 이사 선출과 관련, 이사후보 각각에게 개별 투표하는 방식에는 찬성하되 일괄 투표 방식에는 반대한다는 의사를 전달하기로 했다. 감사 선임과 관련해서는 상근감사를 두지 않고 감사위원회를 설립해 위원회의 과반수를 독립적인 사외이사로 충원하는 안건이 상정될 경우 찬성한다는 방침을 정했다. 경영권분쟁 기업에 대해서는 장기 성장을 이끌어 궁극적으로 주주가치를 제고할 수 있는 쪽을 지지하고 배당 문제와 관련해서는 이익잉여금을 배당금으로 지급하기를 고집하기보다 이를 투자자금으로 활용해 경쟁력을 강화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손동식 주식운용1부문 대표는 “어느 수준의 배당이 적정한지 정하지 않았으며 단기적 입장이 아닌 장기 투자자로서 무조건 배당을 요구하지 않고 투자를 장려하자는 의견도 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한편 미래에셋뿐 아니라 한국투신운용ㆍSH자산운용 등 다른 운용사들도 이날 넥센타이어 주총을 시작으로 본격 개막된 12월 결산법인 주총 시즌에서 기관투자가로서 의결권을 강화할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