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5+2 광역경제권 활성화 방안] 지방大 인력양성 지원은

거점대학 20곳 안팎 집중육성<br>한곳당 50억대 지원…재정지원 사업도 통합운영

교육과학기술부는 광역경제권 활성화를 지원하기 위해 지방대학 인력양성사업을 전략적으로 추진할 계획이다. 이를 위해 내년 한해 모두 5,000억원의 예산이 지원된다. 교과부는 오는 2009년부터 3년간 매년 1,000억원을 경제권별 신성장 선도산업 우수 인력양성 사업에 집중 투자한다. 광역경제권 ‘거점대학’에 500억원, 교육역량 강화사업에 500억원씩 지원이 이뤄질 방침이다. 거점대학은 경제권별 선도 산업 분야에서 인력양성 계획이나 육성의지가 높은 1~2개 대학씩, 총 20개 내외의 대학을 선정할 계획이다. 대학당 지원금액은 50억원 안팎으로 거점대학은 기업체, 광역권 협의체, 연구기관 등이 전략적 협력 컨소시엄을 구성해 선도산업 분야의 인력양성을 총괄 지원하는 역할을 맡는다. 충청권에서는 한국과학기술원(KAIST), 동남권에는 울산과기대, 대경권에는 포항공대 등 우수 이공계 대학을 선도산업과 연계된 첨단 융합ㆍ실용학문의 교육ㆍ연구 인력양성에 집중지원하고 호남권에서는 광주과기원이 2011년부터 학사 과정, 대경권에서는 대구경북과기원에서 2011년 석ㆍ박사 과정과 2012년에 학위과정을 설치해 광역권 고급 두뇌 육성을 도모할 예정이다. 교과부는 또 재정 지원사업 개편을 통해 광역경제권의 우수 인력양성을 공급할 지방대학의 경쟁력을 강화한다. 내년부터 누리사업, 전문대 특성화 사업 등 사업단 지원사업을 ‘대학 교육역량 강화’사업에 통합해 2009년에 지방대와 지방 전문대에 3,300억원의 예산을 증액 지원한다. 이용균 교과부 진로취업지원과장은 “예산지원 지방대학은 취업률 등 교육성과가 우수한 소수의 대학에 한정해 선택과 집중을 할 예정”이라면서 “예산도 총액으로 지원해 대학 스스로 자율적 집행과 성과달성을 해내는 등 책무성을 강화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외에도 산학연 협력 우수대학에 매년 300억원을 투입해 ▦수요자 중심 교육과정 도입 ▦산업계 전담교수제 운영 ▦핵심기술 공동개발 등 실질적인 산학연 협력이 이뤄지도록 할 계획이다. 교과부는 협력강화를 위해 인력 상호파견, 고용휴직 등 지역대학과 정부 출연연구원의 교류활성화 법령 개정을 추진하고 거점대학 학생들을 대상으로 출연(연)과 대학이 공동으로 책임지는 특화전문대학원의 설치도 지원한다. 지방의 과학기술 연구역량을 지속적으로 높이기 위해 지역의 우수과학자에 대한 기초연구 지원도 지속적으로 확대된다. 2007년 364개 과제에 104억원을 지원했던 것을 내년 700개 과제(207억원), 2012년에 1,500개로 늘려 지역 과학자 육성에 나선다. 지방대학의 글로벌화를 위해 2012년까지 ‘세계수준 연구중심 대학’사업에서 지방대 지원금을 2,000억원으로 확정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