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17일] 본격화되는 대기업·中企상생협력

삼성전자를 비롯한 대기업들이 상생을 위한 구체적 실천방안을 잇달아 내놓고 있어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협력이 본격화되고 있는 모습이다. 삼성전자는 협력사 지원을 위한 1조원 규모의 상생펀드 조성을 비롯해 주요 원자재를 직접 구입해 협력업체에 제공하는 사급제도 도입, 교육프로그램 운영 등을 포함하는 최대 규모의 상생협력방안을 내놓아 실질적인 효과가 클 것으로 기대된다. 이에 앞서 현대자동차와 LGㆍ포스코 등도 비슷한 내용의 협력업체 지원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대부분 1차 협력업체뿐 아니라 2ㆍ3차 협력업체들까지 상생 대상에 포함하고 있어 상생의 범위가 크게 넓어진 것이 특징이다.

관련기사



이처럼 대기업들의 상생노력이 확산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양극화 현상 완화는 물론 중장기적으로 국내 기업의 체질강화와 경쟁력을 높이는 데도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 최종 제품 조립을 담당하고 있는 대기업은 기본적으로 협력업체를 비롯한 중소기업들이 얼마나 경쟁력 있는 부품과 소재를 생산하느냐에 크게 영향을 받는다. 이 같은 분업체제에서 만약 대기업들이 우월적 지위를 이용해 협력 중소기업들을 지나치게 쥐어짤 경우 단기적으로 대기업의 수익을 올리는 데는 도움이 될지 모르지만 중장기적으로 부품과 소재산업 등의 발전을 가로막아 대기업의 경쟁력에 걸림돌이 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중소 협력업체들도 수익을 내고 기술개발을 위한 투자를 할 수 있어야 대기업의 경쟁력이 높아질 수 있는 것이다.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상생이 필요한 것도 이 때문이다.

이 같은 상생협력 분위기는 정부에 의해 촉발된 것이 사실이지만 대다수 대기업들이 적극 참여함에 따라 대기업과 중소기업 간 새로운 공생 풍토를 조성하는 계기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를 위해서는 대기업들이 잇달아 내놓은 상생방안들이 일회성에 그치지 않고 지속적인 추진을 통해 상생 효과를 체감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런 점에서 대기업들은 상생전담 부서 운영 등을 통해 상생협력을 위한 체계적인 관리방안을 강구하고 중소협력업체들은 기술력과 생산성 향상 노력을 강화해야 한다. 대기업에 의한 시혜적 지원은 오래 가기 어렵다.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공생을 통한 경쟁력 강화라는 공동의 목표를 설정하고 대기업과 중소기업이 함께 노력하는 풍토가 정착되도록 해야 한다.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