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홍준표 원내대표 "국정 전면쇄신 해야"

美대선 교훈 보수대개혁 '시동'<br>"MB 정권 반석위에 올리자" 당화합 강조<br>'국정주도권 잡기' 정면돌파 포석 분석도

여권 안에서 연말과 연초 전면적인 국정 쇄신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청와대의 계속된 부인에도 불구하고 한나라당을 중심으로 경제위기 극복을 위한 경제팀 교체 등 인사개편과 시스템 개편에 대한 여권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다. 특히 미국 대선에서 나타난 변화와 개혁의 흐름이 정치권 안에서 전면적인 쇄신론으로 확대되고 있다. 여권 연말 개편론을 처음 제기한 홍준표 한나라당 원내대표가 이번에도 총대를 맸다. 홍 원내대표는 7일 "미국 대선을 교훈으로 전면적인 국정쇄신을 해야 한다"면서 "오늘부터 한나라당은 정부와 긴밀히 협의해서 신보수로 거듭나는 보수대개혁 운동을 해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연말ㆍ연초 여권의 개편이 필요하다는 주장은 이미 한나라당 내에서 상당한 공감대를 얻고 있다. 홍 원내대표와 입장 차이를 보이는 듯했던 박희태 대표도 최근 "내각 개편이 안 된다는 뜻은 아니다"라고 한발 물러서며 쇄신론에 힘을 실었다. 특히 여권 내 개편론에 대한 시각은 단순한 내각 개편 정도를 넘어서는 듯한 분위기다. 내각은 물론 청와대를 포함한 전반적인 인적쇄신과 공직사회 전반에 대한 개혁, 더 나아가 국정운영 기조의 변화 필요성까지 나가는 모양새다. 청와대는 이 같은 여권 내 기류에 대해 반대입장을 분명히 하고 있다. 경제위기 상황이 지속되는데다 인적교체의 경우 대안이 부재하다는 것이다. 이명박 대통령의 인사 스타일로 볼 때 개각 등은 한나라당내 분위기에 비해 훨씬 늦어질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반면 한나라당을 포함한 여권 내 전체 기류는 쇄신론 쪽으로 무게중심이 급속히 이동하고 있다. 친이(친이명박) 직계의 한 의원은 "쇠고기 파동, 촛불시위, 글로벌 금융위기 등의 어려운 상황으로 집권 1년차를 어렵게 보낸 이 대통령에게는 내년은 가장 중요한 시기다"라며 전반적인 국정쇄신의 불가피성에 공감대를 표시했다. 이미 개각 등을 위한 실무 준비에 착수했다는 얘기도 흘러 나오고 있다. 당의 한 핵심관계자는 "개각이 있을 경우 정치인 장관의 대거 기용으로 당정관계를 긴밀히 하는 것이 핵심이 될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결국 홍 원내대표가 주장한 국정쇄신론은 지난 6일 국회 대정부 질문에서 강만수 장관의 '헌재 접촉 발언'이 정치쟁점화된 것처럼 돌발상황으로 인해 야당에 계속 발목이 잡히고 국정주도권 장악에 실패하는 난국이 이어지는 상황을 돌파하기 위한 수순으로 보인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