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네덜란드 노사관계 성공비결은 임금안정”

알렉산더 리누이 칸 ING그룹 이사는 31일 “네덜란드 노사가 단체협약으로 임금비용을 지속적으로 안정시켰기 때문에 지난 82년 이후 수익성이 획기적으로 개선됐다”며 “네덜란드의 경험이 한국이 보다 협력적인 노사관계를 만드는데 도움이 될 것”이라고 말했다. 칸 이사는 이날 서울 중구 소공동 롯데호텔에서 한국노동연구원(원장 이원덕)주최로 열린 `네덜란드의 노사관계에 관한 특별초청 강연회`에서 “한국의 노사관계 혁신이 중요하다”며 이같이 밝혔다. 지난 1990년대 네덜란드 경제인연합회의 대표를 역임한 칸 이사는 현장에서 노사합의를 이끌어 낸 장본인이다. 칸 이사는 “네덜란드 경제가 80년대 중반부터 90년대 후반까지 발전할 수 있었던 두 번째 요소는 공공부문 비용 절감을 통한 정부의 감세정책 때문”이라며 “이런 정책을 통해 정부는 거의 매년 근로자의 구매력을 창출할 수 있었고 노사 합의를 통한 임금비용 완화를 이끌어 낼 수 있었다”고 주장했다. 그는 또 “90년대 네덜란드 경제발전은 노동시장의 유연성 증대 때문”이라며 “당시 근로 파견업체가 한시적으로 늘어났고 파트타임 일자리가 증가했다”고 말했다. 칸 이사는 “네덜란드의 현재 경제상황은 그리 밝지 않은 편”이라며 “최근 네덜란드 노ㆍ사ㆍ정은 지난 82년 바세나르 협약과 매우 비슷한 방식으로 역사적인 타협안을 마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네덜란드와 한국 모두 경제적으로 어려운 시기에 처해 있을 뿐 아니라 국내수요 약화를 극복해야 하는 과제를 안고 있고 중요한 무역 거점국가로서 비슷한 점이 많다”며 “장기적으로 볼 때 양국의 경제 전망은 밝다”고 말했다. <전용호기자 chamgil@sed.co.kr>

관련기사



전용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