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촛불 '반정부 투쟁' 변질

대운하·의료 민영화 반대 등으로 전선 확대<br>"재야단체등 주도로 민의 왜곡 우려" 목소리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로 촉발된 촛불집회가 결국 ‘반정부 투쟁’으로 변질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촛불집회 개최 한달 보름째를 맞은 16일 저녁 서울광장. 이날 열린 촛불집회에서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에 대한 목소리는 낮아진 반면 ‘공영방송을 지키자’는 구호가 더 크게 울려퍼졌다. 대책회의 측은 “이명박 정부가 측근인 최시중씨를 방송통신위원장 자리에 앉혀 언론을 통제하고 방송을 장악하려 한다”면서 최 위원장의 탄핵소추 서명운동까지 벌이겠다고 주장했다. 대책회의는 앞서 오는 20일까지 재협상을 실시하지 않으면 정권퇴진 운동을 불사하겠다고 밝힌 바 있으며 17일에는 대운하 반대, 19일에는 의료 민영화 반대 등을 주제로 한 촛불문화제를 계획하고 있다. 공기업 민영화, 물 사유화, 교육 등의 의제들에 대해서도 번갈아가며 릴레이 시위를 펼쳐 문제제기를 한다는 방침도 세웠다. 이처럼 투쟁전선이 넓어졌다는 이유로 아예 대책회의의 명칭을 바꾸는 방안까지 거론될 정도다. 이미 효순ㆍ미선양 6주기였던 지난 13일의 시위나 6ㆍ15남북공동선언 8주년 기념일이었던 15일 시위에는 반미성향 재야단체들을 비롯해 전국민주노동조합총연맹(민주노총)ㆍ금속노조ㆍ민주노동당ㆍ한국사회당 등 단체들의 참여가 두드러졌다. 그동안 촛불집회를 주도했던 10대 청소년과 일반 시민들은 이미 외곽으로 밀려난 분위기다. 이처럼 촛불집회의 달라지는 양상에 대해 몇몇 보수단체들과 시민들은 우려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바른사회시민회의는 이날 ‘총체적 난국 수습을 위한 시국선언문’을 발표하고 “촛불집회는 현 정부에 어떤 권력도 민의를 거스를 수 없고 국민들과의 소통의 중요성을 일깨우는 성과를 거뒀다”고 평가하면서도 정권퇴진 운동으로 전개되는 것에 대해서는 “광장의 힘을 오용하고 민의를 왜곡시키는 것”이라고 우려했다. 시민회의는 또 “우리 사회는 정치ㆍ생활ㆍ경제ㆍ선거민주주의의 문제점들이 결합한 백화점식 총체적 위기를 맞고 있다”면서 “그 위기는 이명박 정부가 국민으로부터 신뢰를 상실하고 불신을 초래했다는 점에서 기원한 만큼 정부는 국민이 납득할 수 있는 국정ㆍ인적쇄신책을 내놓아야 할 것"이라고 주장했다. 광우병 대책회의 홈페이지에도 우려의 목소리가 터져나오고 있다. ‘걱정’이라는 한 네티즌은 “자꾸 집회가 이상한 방향으로 가는 것 같다. 쇠고기 재협상 주장만 해야지 다른 주장까지 섞이면 성격이 변질돼 원래 주장했던 것도 본질을 잃어버릴 것 같다”고 쓴소리를 던졌다.

관련기사



노희영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