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윤종용 부회장-참여연대 '지배구조' 설전

삼성전자와 참여연대가 28일 삼성전자의 정기주총에서 김인주 삼성 구조조정본부 사장의 이사 자격을 둘러싸고 한바탕 격돌했다. 이날 `설전'은 2호 안건이었던 김 사장의 이사 재선임과 관련, 참여연대측이 자격문제를 집요하게 제기하면서 불거졌다. 김상조 참여연대 경제개혁센터 소장은 "김인주 사장은 구조본 파견 근무를 했으며 구조본은 삼성카드와 삼성차 문제를 추진한 곳"이라며 "구조본의 결정 사안에 대해 삼성전자 이사회가 의사결정을 하는 과정에서 김 사장의 역할과 관련, 이해상충이 있을 수 있다"고 지적했다. 김 소장은 "최대 위험 요소는 비즈니스 관련 의사결정이 아니고 지배구조와 관련된 의사결정 구조"라며 "김인주, 이학수 이사 등이 앞으로 잠재적으로 있을 수 있는 법률적 위험의 전형적 사례"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발언 수위가 이정도에 이르자 최대한 주주들의 의견을 경청한다는 차원에서 감정 표출을 최대한 자제해 온 윤종용 부회장(주총 의장)도 언성을 높였다. 윤 부회장은 "어떻게 그렇게 단정해서 얘기하느냐, 나도 참았는데 그런 식으로 얘기하면 안되는 것 아니냐"며 "기업의 지배구조가 문제라면 한국보다 훨씬 투명한 미국에서는 왜 엔론 사태가 발생한 것이냐"고 말했다. 그는 "삼성전자가 지배구조 때문에 주가가 떨어지는 것이 아니다"라며 "회사에만 지배구조만 있는 것이 아니고 사회에도 지배구조가 있으며 `코리아 디스카운트'는 상당부분 사회의 지배구조 문제에서 기인한 것"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윤 부회장이 "여러분이 속한 조직(참여연대)도 사회적 지배구조에서 엄청난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고 말하자 김소장은 "내가 질문하고 윤 부회장이 답변할것인지, 윤 부회장이 질문한 것에 내가 답변할 것인지 결정해달라"고 응수했다. 윤 부회장은 김인주 사장의 대선 불법 정치자금 연루에 따른 기업 윤리규정 위배에 대한 참여연대의 지적에 대해서도 "본인의 고의성이 없고 회사에 경영적, 재정적으로 문제를 일으킨 것이 없기 때문에 내부의 경영 판단으로 문제가 없다고 한 것인데 뭐 어떻게 하라는 것이냐"며 "김 사장은 삼성차 문제에 관여하지 않았고 카드문제도 이전부터 계속돼온 것"이라고 목소리의 수위를 높였다. 한편 이날 주총에서는 참여연대측이 문제제기를 할 때마다 `대부분의 주주가 찬성하는데 왜 물고 늘어지냐', `주주의 대리인일 뿐 주주 자격은 없는 것 아니냐'는식의 일부 소액주주들의 고성이 이어져 어수선한 분위기가 연출됐다. (서울=연합뉴스) 송수경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