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월드컵개최 5개 지자체 재원조달능력 미달

이들 지자체는 지방채를 발행하거나 공공자금을 금융기관으로부터 빌리는 등 빚을 내어 공사를 진행해오다 최근 정부에 자금지원을 요청, 재정여건을 감안하지 않고 월드컵 유치에 무리한 욕심을 냈다는 지적을 받고 있다.17일 문화관광부 등에 따르면 국고지원없이 지방자치단체 예산으로 경기장을 건설하는 조건으로 월드컵 축구경기를 유치한 도시는 인천, 울산, 수원, 전주, 서귀포 등 5개 광역·기초자치단체다. 이들 도시중 현재 경기장 공정률이 38%인 수원시는 총 건립예산 2,500여억원중 앞으로 투자해야 할 1,200여억원을 마련할 길이 없자 경기도와 공동으로 월드컵경기장건립추진위원회를 구성했다. 재원마련을 책임지게 된 경기도는 올해 투자분 900억원중 600억원을 5년 거치 10년 상환 조건으로 산업은행의 공공자금에서 빌렸으나 나머지 300억원과 내년도 투자분 300여억원에 대해서는 아무런 대책을 세우지 못하고 있다. 내년 9월 완공때까지 1,700여억원이 필요한 인천시는 올해분으로 확보한 600여억원중 200억원을 재정융자특별회계 자금에서 차입했으며, 서귀포시는 지금까지 확보한 652억원중 무려 600억원을 재특자금에서 끌어왔다. 35%의 공정을 보이고 있는 전주경기장은 전주시가 수익사업을 통해 마련하기로한 300억원이 확보되지 않아 막바지 공사에 차질이 우려되고 있다. 전주시는 당초 1,450억원의 공사비중 시가 690억원, 전북도가 460억원을 각각 부담하고 나머지 300억원은 수익사업을 통해 마련한다는 방침이었다. 울산시는 상황이 더욱 나빠 이미 투자된 1,011억원 가운데 475억원을 지방채를 발행해 마련했으나 앞으로 투자해야 할 1,388억원에 대한 재원조달방안을 찾지 못하고 있다. 최창호기자CHCHOI@SED.CO.KR

관련기사



최창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