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우리컨소시엄 9조이상 조달


정부의 우리금융지주 지분 매각 예비입찰에는 독자생존을 선언한 우리금융지주와 외국계 사모펀드인 칼라일그룹 등 복수의 경쟁자가 참여할 전망이다. 예금보험공사가 26일 보유지분(56.97%) 매각을 위한 입찰참가의향서(LOI) 접수를 마감한 결과, 우리지주와 칼라일그룹 등 복수의 기관들이 신청한 것으로 전해졌다. 예보는 LOI 제출자에게 우리지주의 상세 정보를 담은 투자안내서(IM)을 보낸 뒤 12월 20일 예비입찰을 실시할 계획이다. 정부는 ▦우리지주 조기 민영화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국내 금융산업 발전 기여 등의 3가지 원칙만 지켜진다면 경쟁입찰에 연연하지 않겠다는 입장이다. 하지만 경쟁입찰을 통하지 않고 정부 지분을 팔 경우 특혜 매각 논란을 살 수 있다는 점에서 경쟁입찰이 성립되지 않는다고 판단되면 우리지주 지분 매각일정이 재조정될 가능성도 있다. 이번 지분매각 입찰 참여 최소자격은 우리금융그룹 전제로는 ‘지분 4% 이상’, 우리지주 그룹사인 경남ㆍ광주은행 기준으로는 ‘지분 50%+1주이상’을 인수해야 한다. 우리지주는 이팔성 회장이 진두지휘한 가운데 국내외에서 투자자들을 잇따라 접촉, 입찰 참여 컨소시엄을 구성하기 위한 물밑작업을 벌여왔다. 국내에선 국민연금과 KT, 포스코, 우리사주조합 등이 콘소시엄 참여 후보군으로 꼽혀 왔다. 우리지주는 7조원 이상의 자금을 동원할 수 있다고 자신하고 있다. 다른 입찰참여자들은 자격조건인 ‘지분 4%이상 매입’ 기준을 충족하는 선에서 지분 인수 의향을 밝힌 뒤 합종연횡할 가능성도 있다. 물론 이 경우 정부의 우리지주 지분 최저 매각 물량인 28.5%를 충족하는 것을 겨냥할 것을 보인다. 금융권은 우리지주 지분매각이 경쟁입찰로 진행될 경우 정부가 3원칙중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냐 국내 금융산업 발전 기여냐를 놓고 최종 고심할 가능성이 높다고 보고 있다. 우리지주는 복수의 투자자들을 설득해 컨소시엄을 구성하는 만큼 지분인수 희망가격을 제시할 때 경영권 프리미엄을 감안하기가 쉽지 않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정부가 공적자금 회수 극대화 원칙만 고집한다면 우리지주를 선택하는 데 부담을 갖게 된다. 그렇다고 지분매각 가격 극대화를 위해 외국계 펀드 등으로 눈을 돌린다면 금융산업 발전 원칙에 저해될 수도 있다. 외환은행의 경우만 봐도 과거 론스타가 인수하면서 지난 7년여간 전산시스템 등의 추가 투자에 적극 나서지 않아 상대적으로 국내 은행들에 비해 인프라가 뒤쳐졌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특히 우리지주 산하 우리은행의 경우 국내 주요 기업들의 주요 채권자로서의 위치를 확보하고 있어 외국계에 지주의 경영권을 넘기는 것이 부담스러운 상황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