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찰 재건축 비리수사 어떻게 돼가나

서울경찰청·광역수사대·일선서 '전방위 수사<br>'여의도·잠실·반포 등 조합 설립인가를 둘러싼 의혹 내사

경찰이 지난달 25일 `재건축 비리' 전면 수사방침을 밝힌 뒤 서울 전역에서 전방위 수사를 벌이고 있다. 경찰은 일단 첩보수집 활동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으나 일부 지역에서는 구체적인 혐의점이 드러나 조합간부 등이 사법처리되기 시작했다. 비리의혹을 잡고 내사에 착수한 곳은 더 많다. 재건축 비리 수사는 크게 서울경찰청 수사2계와 서울경찰청 광역수사대, 일선경찰서 등 3각 축을 중심으로 이뤄지고 있다. 수사는 서울경찰청 수사2계가 총괄하고 광역수사대는 첩보 위주로, 일선 경찰서는 관할 지역 내에서 각각 재건축 비리 수사를 하는 방식으로 진행된다. 경찰은 기존 고소ㆍ고발 사건 가운데 불요불급한 사건이 아니면 가급적 뒤로 미루고 재건축 비리를 캐는데 우선적으로 수사력을 집중하고 있다. 우선 서울 남부경찰서는 첩보수집 결과를 토대로 내사를 벌인 결과 인천 서구가좌2동의 재건축 조합 간부가 새시 설비권을 미끼로 시공업체로부터 수천만원을 받아 가로챈 혐의를 밝혀내고 구속영장을 신청했다. 재건축 수사 발표 뒤 약 열흘 만에 거둔 성과다. 경찰은 오는 20일께 일선 경찰서의 수사 결과를 취합해 수사 진행상황을 발표할 예정이다. 제보도 잇따르고 있다. 일선서로 직접 찾아오는 재건축 관계자들도 많으며 인터넷을 통한 제보도 꾸준히 접수되고 있다. 그러나 제보 가운데 조합설립 이전 단계인 추진위 설립을 앞두고 대립하는 주체들이 이전투구를 벌이는 상황에서 나오는 `음해성' 제보도 적지 않아 이를 걸러내는일도 쉽지 않다고 경찰은 전했다. 경찰 관계자는 "조합 결성 단계나 건축 승인, 시공 과정에서의 비리를 밝혀내는것이 중요한데 추진위 등 초기 단계의 음해성 제보가 많아 문제"라고 지적했다. 그러나 경찰은 재건축 비리가 서민생활과 직결된 중대 범죄라는 인식으로 수사에 총력을 기울이고 있다. 성산동 대림아파트 재건축 비리를 밝혀낸 광역수사대도 잠실 시영아파트 수사에이어 여의도ㆍ잠실ㆍ반포 등에서 조합 설립인가를 둘러싼 의혹이 제기돼 내사에 착수했다. 광역수사대는 재건축 비리 수사를 지능팀으로 일원화하고 기존 35명이던 수사인력을 41명으로 확대개편했다. 일선 경찰서의 한 수사과장은 "경찰이 1개월만에 재건축 비리를 파헤칠 수 있겠느냐는 목소리도 있지만 가능한 인력과 방법을 모두 동원해 최대한 성과를 낼 방침"이라고 전했다. (서울=연합뉴스) 조성현 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