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외환시장도 '북핵'에 촉각

연휴기간 역외환율 950원대로 급등<br>"원화에 제한적 악재" 관측 우세 불구<br>"北·美파국땐 폭등" 우려 갈수록 확산


북한이 핵실험을 강행할 경우 추석 연휴 이후 환율이 급등세를 나타낼 수도 있다는 진단이 제기되고 있다. 이번 핵실험 문제 역시 이제까지의 북핵 문제들과 비슷한 수준의 영향력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라는 관측이 우세하나 만약의 경우 지정학적 위기가 본격화되면 원ㆍ달러 환율이 폭등할 수 있다는 것이다. 경제가 좋지 않은 가운데 원화 강세 추이를 걱정하던 당국의 입장에서 보면 원ㆍ달러 환율에 ‘북핵발 호재(?)’가 발생한 셈이지만 원화가 터무니없이 약세를 보일 경우 환차손을 걱정하는 외국자본이 썰물처럼 빠져나갈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고, 그런 시나리오가 현실화되면 그만큼 한국 경제의 취약성을 드러낼 수 있다는 우려인 것이다. ◇추석 연휴 동안 역외환율 ‘껑충’=지난주 말 역외시장에서 원ㆍ달러 환율은 953원으로 거래를 마쳤다. 한가위 연휴 직전인 지난 4일 서울 외환시장의 현물환 종가 949원10전보다 큰 폭 상승하며 950원대로 복귀했다. 역외환율 상승은 엔ㆍ달러 환율이 한때 달러당 119엔대로 상승하는 등 강한 오름세를 보인 데 따른 것으로 분석된다. 여기에 북한의 핵실험 의지 표시도 원화 약세 요인으로 작용한 것으로 관측된다. ◇아직까지는 원화에 제한적 악재 전망=아직까지는 북핵 문제가 환율에 미치는 영향력이 제한적일 것으로 관측이 대세를 이루고 있기는 하다. 북핵 문제가 수년간 되풀이돼온 문제라 시장에서 내성이 생겼기 때문이라는 이유에서다. 우리 정부를 비롯해 미국과 중국ㆍ일본 등이 다각적인 외교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점도 북핵 실험이 장기 악재로 작용하지 않을 것이라는 전망을 뒷받침하고 있다. 이윤석 금융연구원 연구위원은 “과거와 달리 최근에는 북한 관련 재료가 환율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고 있다”며 “핵실험 발표 역시 구체적인 움직임이 나오기 전까지는 원ㆍ엔 환율을 지지하는 정도의 효과만 가질 것으로 보인다”고 예상했다. 국제금융센터(KCIF)도 북한 핵실험 계획 발표가 7월5일 북한의 미사일 발사와 비슷한 영향력을 가질 것으로 내다봤다. 북한이 동해로 미사일 발사를 강행했던 7월5일을 전후해 환율은 오름세를 보이기도 했으나 이내 하향 안정되며 940원대를 유지한 적이 있다. ◇북ㆍ미 파국 때는 폭등 가능=그러나 북한이 실제 핵실험을 강행하고 미국이 강경대응에 나서며 북ㆍ미간 파국이 빚어질 경우 환율이 폭등할 수 있다는 우려도 갈수록 확산되고 있는 추세이다. 북ㆍ미간 긴장이 최고조에 달하며 물리력이 사용되는 사태가 초래될 경우 원ㆍ달러 환율은 외국인 투자자금의 급격한 이탈로 인해 점치기 어려운 수준으로 치솟을 수 있다는 지적이다. 북한의 핵확산금지조약(NPT) 탈퇴 이후 북ㆍ미간 갈등이 최고조에 달한 2003년 3월 환율은 보름 만에 1,190원대에서 1,250원대로 폭등한 바 있다. 민간 연구소의 한 전문가는 “북한 핵위기 고조로 환율이 급등세를 보일 경우 환차손을 우려하는 외국인 투자자금이 단기간에 빠져나가면서 다시 환율을 급등시키는 악순환이 일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고 진단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