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서울시내 지하도 상가내 폐가스 감지시스템 구축

이달까지 서울시내 지하도상가 내에 폐가스(COㆍCO2) 감지ㆍ경보시스템이 구축된다. 또 내년 11월까지 모든 지하도상가를 통합 관리하는 종합방재센터가 설치ㆍ운영된다. 서울시설공단은 지난 8일 종각역 지하상가에서 가스누출 사고가 발생함에 따라 이 같은 내용의 종합안전대책을 11일 내놓았다. 현재 서울시내에는 30개 지하도상가에 2,775개 점포가 있다. 이중에서 강남터미널 등 12개 상가는 도시가스, 을지로 등 17개 상가는 전기, 영등포역 상가는 경유를 냉난방시스템의 연료로 사용하고 있다. 공단은 도시가스ㆍ경유를 냉난방시스템의 연료로 사용하는 13개 상가에 연료 연소시 배출되는 폐가스를 자동 감지할 수 있는 자동경보시스템 36대를 이달 말까지 설치하기로 했다. 유독 폐가스 누출사고를 대비한 매뉴얼이 마련되고 연 1회 실시하던 냉난방 및 도시가스시설 정기점검을 분기 1회 이상으로 늘리는 등 안전점검도 강화된다. 내년 11월까지는 30개 지하도상가 전체를 통합 관리하는 종합방재센터가 구축된다. 공단은 종합방재센터를 통해 지하도상가 내의 각종 설비를 자동 감시하고 재난 발생시 지휘ㆍ통제본부의 역할을 수행하도록 할 방침이다. 공단은 또 오는 2007년 말까지 각 상가에 공기질 자동측정시스템을 설치해 미세먼지ㆍ일산화탄소(CO)ㆍ이산화탄소(CO2) 등 공기질을 실시간으로 측정, 그 결과를 전광판에 공개해 시민들이 눈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할 계획이다. 한편 종각역 지하상가 가스누출 사고를 조사 중인 서울 종로경찰서는 11일 상가 냉난방기에서 누출된 일산화탄소를 상인 등이 흡입해 중독되게 한 혐의(업무상 과실치상)로 서울시설관리공단 종로지하상가 관리소장 고천석씨 등 시설관리 담당자 5명을 불구속 입건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