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제4세대 연구개발

일반적으로 연구개발은 추진체계에 따라 1세대부터 4세대까지 구분한다. 우리는 90년대 후반부터 제4세대 연구개발에 관하여 자주 들어왔다. 연구개발 패러다임의 세대별 구분은 연구개발의 주체, 대상과제 성격, 관리체계의 차이 등에 기초한다. 제1세대 연구개발은 60년대 전 후반 좋았던 시절의 유물로서 기업의 미래기술은 개인연구자 중심의 연구개발부문에 의해 독자적으로 결정된다. 한편 2세대는 프로젝트 관리가 직관적 체계에서 목표지향적 체계로 변화하는 과도기적 단계이다. 기업내의 연구개발종사자와 사업관리자는 공급자와 고객의 관계가 되어 양측의 권한관계나 의사소통을 위하여 프로젝트 관리기법이 도입되었다. 이 시기는 프로젝트단위의 전략적 체계는 있었으나 기업 전반적인 통합은 없었다. 따라서 경영층과 연구개발 책임자는 재판장과 변호사의 관계가 되었다. 제3세대 형태는 80년대 중반에 연구개발의 성공과 기업의 성공이 일치되지 않는다는 현실 인지로부터 출발했다. 기술 고도화는 연구개발규모 확대와 투자의 본질적 위험성이 기업의 재정문제에 큰 영향을 미쳤다. 따라서 전사적 통합전략 연구개발로 전환되었다. 그 특징은 시장조사에 의한 프로젝트 선정과 기술지도(TRM)에 의한 연구개발 방향설정이다. 또한 연구과제는 매트릭스 형태의 포트폴리오로 분석되어 기술과 사업성공 가능성이 확실하게 관련지어진다. 마지막으로 최근 모든 분야는 지식경영 기법을 도입하고 있다. 지식경영의 핵심은 조직원의 암묵적 지식을 형식지로 바꿔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있다. 제3세대에서 고객의 니즈 파악시 형식적 니즈에 근거를 두었으나 이는 인식의 표면 위에 있는 극히 일부분의 요구로서 수면 밑의 대부분은 잠재적 니즈로서 고도의 예측이 필요하다. 여기서 고객의 형식적 암묵적 니즈, 기술역량은 상호의존적인 학습에 의해 제4세대 연구개발 과정 중에 연계 발전하게 된다. 이 과정에서 기술의 역량과 개념들이 진정한 니즈에 평가되고 정제된다. 이는 고객의 잠재적 니즈규명과 만족을 위해 새로운 과학적 기술적 지식이 어떻게 활용되느냐가 핵심프로세스이다. 즉 제4세대 연구개발은 철저히 시장을 통한 가치창출형 연구개발로 고도사회가 심화될수록 상당한 경쟁력과 설득력을 갖는 시스템으로 빛을 더 할 전망이다. /김정덕(한국과학재단 이사장)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