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외환은행, 현대 자금악화설 진화

현대그룹의 주채권 은행인 외환은행의 드로스트(DROST) 부행장은 27일 기자회견을 갖고, 현대그룹이 올해 4조2,000억원 규모의 큰 이익이 날 것으로 예상되며 이를 통해 9조원에서 10조원에 달하는 현금유동성을 확보하게 돼 현금흐름에 큰 문제가 없다고 강조했다. 그는 현재 현대의 전체 차입금은 30조원 규모로 영업이익과 감가상각비를 합산한 현금흐름 규모가 5조6,000억원으로 30조원의 차입금이 큰 부담이 아니라고 덧붙였다. 다음은 드로스트 부행장과의 일문일답. -현대 자금악화설의 근거는. ▲현대그룹의 자금악화설은 소문에 불과하다. 현대가 해외 금융기관에서 차입한 외화부채 중 1년 이내 갚아야 할 규모는 12억달러에 불과하다며 그 정도는 현대가 충분히 관리할 수 있는 규모다. 또 해외 금융기관이 일시에 12억달러의 자금을 회수한다는 것은 현실적으로 가능하지도 않다. -올해 현대의 영업현황과 현금흐름은. ▲지난해 현대는 기아차와 합병하면서 어려움이 있었다. 그러나 올해는 4조2,000억원에 달하는 큰 폭의 이익실현과 함께 10조원에 가까운 현금유동성을 확보할 것으로 본다. 현금 흐름에 큰 문제가 없다. -현대의 차입금 규모는. ▲98년에 비해 99년에는 많이 좋아졌다. 총 차입금 규모도 98년말 48조8,000억원에서 99년에는 37조5,000억원으로 11조3,000억원이 줄었고, 외화부채도 138억달러에서 124억달러로 14억달러가 줄었다. 우승호기자DERRIDA@SED.CO.KR 입력시간 2000/04/27 18:31

관련기사



우승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