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회 사회일반

민노총, 올 임금 가이드라인 제시안해

노사상생 분위기 도움될듯

민주노총이 올해 춘투(春鬪)의 임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을 방침이다. 민노총이 임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는 것은 지난 1995년 설립 이후 처음으로 노사상생 분위기 확산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전망된다. 민노총의 한 고위관계자는 3일 “최근 열린 중앙집행위원회에서 세계적인 경제위기를 맞아 노동자도 고통을 분담한다는 진정성을 보여주기 위해 올해 임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기로 결정했다”고 밝혔다. 이 관계자는 “민노총은 가이드라인을 별도로 제시하지 않는 대신 산하 노조단체 등이 자율적으로 판단해 올해 임금인상 요구안을 만들게 될 것”이라며 “임금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는다고 해서 임금동결 등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설명했다. 중앙위의 임금 가이드라인은 구속력이 없지만 산하 조직이 대부분 제시안을 기준으로 협상에 임해왔던 점을 감안하면 가이드라인을 제시하지 않는 데 대한 파급효과가 클 것으로 분석된다. 이 같은 민노총 중앙위의 결정에 대해 산하 노조단체들은 다소 엇갈린 반응을 보였다. 보건의료노조 관계자는 “현재 임금인상 요구안을 만들기 위해 설문조사 중인데 최근의 사회 분위기 때문에 단위노조 조합원들의 심리가 위축돼 있어 과도한 임금인상 요구안이 나오기는 어려울 것 같다”며 “민노총의 결정도 그런 연장선상에서 이뤄진 것으로 보인다”고 긍정적으로 해석했다. 반면 금속노조 관계자는 “민노총이 최근 보낸 ‘임금요구의 기조’를 보면 올해 임금인상의 근거 등이 자세하게 나와 있다”며 “준비는 다해놓고 발표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수 없다”는 입장을 보였다. 한편 민노총은 정규직에 대한 올해 임금 가이드라인은 제시하지 않지만 비정규직과 최저임금 등에 대해서는 조만간 ‘올해 민노총 요구와 과제’ 자료집을 통해 발표할 예정이다. 민노총은 지난해 정규직 8.0%, 비정규직 20.2%의 인상 요구안을 제시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