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국제금융기구 개혁·에너지등 G20 정상회의 주요의제될듯

주요20개국(G20) 서울회의의 주요의제로 국제통화기금(IMF) 등 국제금융기구 개혁, 금융규제 개혁, 에너지 시장의 안정성 확보 등 에너지 이슈, 금융 안전망, 각국 간 개발격차 완화방안 모색 등이 채택될 것으로 전망된다. 19일 서울 외교안보연구원에서 열린 '2010년 G20 서울 정상회의 : 전망과 대응전략' 세미나에서 최희남 G20준비위원회 의제총괄국장은 이같이 밝혔다. 안호영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도 기조연설에서 "서울 정상회의의 성공적 개최를 위해서는 기존 합의사항의 성실한 이행과 더불어 글로벌 위기 이후 지속 가능한 균형성장에 기여하는 새로운 의제 설정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또 "G20 제도화 원년의 의장국으로서 의제ㆍ임무ㆍ정통성 측면에서 G20 입지를 강화하는 동시에 G20 이외의 국가들과 협력을 강화하고 국제연합(UN) 등 국제기구를 활용해 G20 정상회의 외적으로도 확대를 추구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어진 토론에서는 G20 성공개최를 위한 다양한 의견들이 제시됐다. 윤덕룡 대외경제정책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한국의 역할에 대해 "한국이 논의를 주도하거나 한국안(Korea's Proposal)을 관철시키기보다는 합의를 도출해 회의를 성공으로 이끄는 데 집중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강선주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금융감독에 대한 국가 간 차이 조정 ▦출구전략의 일환으로서 중·장기적 재정건전성 확보 방안 ▦개발협력 이슈 관련 개도국의 무역금융 효율화 방안 ▦G20 비참가국들의 의사 반영 차원에서 아세안(ASEAN) 등 지역 기구들과 협력방안 마련 등의 의제를 제안하면서 "G20 정상회의 상설화를 위한 로드맵을 마련해야 한다"고 말했다. 최원기 외교안보연구원 교수는 "제도적 안정성과 정체성을 강화하기 위해 G20 외무장관 협의체 및 각료급 회의를 신설해 이를 정책 네트워크로 확대ㆍ강화해야 한다"고 밝혔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