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현대건설·하이닉스 매각 늦춘다

증시 악화로…산업銀 "일부는 한국개발펀드서 진행할수도"

산업은행이 현대건설ㆍ하이닉스 등 구조조정이 완료된 기업의 매각을 산업은행 민영화와 함께 설립될 한국개발펀드(KDF)를 통해 진행할 수도 있다는 입장을 밝혔다. 산업은행 민영화와 구조조정 기업을 매각하는 것은 별개의 사안인 만큼 증권시장 상황에 맞춰 서두르지 않고 차근차근 진행한다는 계획이다. 윤만호 산업은행 부행장은 20일 한 라디오 방송 인터뷰에서 “구조조정 절차가 완료된 기업들은 빨리 매각해 주인을 찾아줘야 한다는 것이 기본적인 입장이지만 시장상황이 불안하고 주가가 많이 내리면 매각에 지장을 초래할 수 있다”며 “이런 기업들은 민영화 이전에 꼭 매각해야 하는 것은 아니며 구조조정 기업의 매각절차가 늦어진다고 (산업은행의) 민영화가 지연되거나 지장을 받지는 않는다”고 말했다. 윤 부행장은 “구조조정 주식의 매각이 산업은행 민영화의 전제조건은 아니고 산업은행 민영화와 동시에 매각을 진행할 수도 있다”며 “일부는 KDF에 보내 매각할 수 있고 일부는 산업은행이 매각할 수 있기 때문에 민영화 자체 지원 스케줄에는 큰 영향을 주지 않는다”고 설명했다. 윤 부행장은 “우선 가장 중요한 것은 산은법이 먼저 개정돼야 하고 개정된 산은법에 따라 지주회사를 설립한 후 민간에 지분을 매각하는 절차를 밟게 된다”며 “지분 매각은 시장이 어느 정도 회복된 다음에 일어날 것이라고 보기 때문에 연말에 이뤄질 수 있는 상황은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그는 “최근 미국 5대 증권계 투자은행 모두 파산되거나 흡수ㆍ합병 또는 은행계 지주회사로 전환신청을 하고 있다”며 “투자은행 업무를 오랫동안 수행해온 산업은행은 오래전부터 리스크가 분산되고 수입구조가 다원화돼 있는 은행계 투자은행이 한국에 적합한 투자은행 모델이라고 판단해왔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