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 부동산일반

투기과열지구 해제 수혜예상지역 "큰 효과 없을 것" 시큰둥

김포·용인·파주 등 "입주물량 많고 고금리 여전…신규 매수세 유입 불투명"


투기과열지구 해제 수혜예상지역 "큰 효과 없을 것" 시큰둥 김포·용인·파주 등 "입주물량 많고 고금리 여전…신규 매수세 유입 불투명" 전재호 기자 jeon@sed.co.kr 윤홍우기자 seoulbird@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정부가 투기지역 및 투기과열지구 해제로 얼어붙은 분양시장에 온기를 불어넣기 위해 대책을 발표한 21일, 정작 해제 예상지역은 여전히 냉담한 반응이다. 정부는 오는 11월부터 투지지구 및 투기과열지구를 단계적으로 풀어나갈 방침으로 다음달 현장실사팀을 가동한 뒤 기획재정부 부동산가격안정심의위원회와 국토해양부 주택정책심의위원회를 각각 열어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 해제 대상지를 정할 계획이다. 현재 주택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는 서울ㆍ경기ㆍ인천 등 수도권 72곳으로 사실상 수도권 대부분이 포함돼 있다. 현재 시장에서 거론되는 주택투기지역 해제 후보지역은 수도권에서 수원시, 성남시 분당ㆍ수정구, 안양 동안구, 과천시, 용인 기흥ㆍ수지구, 화성시 등 올 들어 주택가격 하락이 두드러진 지역들이다. 이들 지역이 투기지역과 투기과열지구에서 해제되면 대출을 더 받을 수 있는 것은 물론 민간택지에 공급한 주택은 전매제한 기간이 3년에서 1년으로 줄게 돼 입주 전에도 전매가 가능하게 된다. 현지 관계자들은 그러나 대출규제가 완화되고 전매제한 기간이 줄어든다고 해도 분양시장이 쉽게 되살아나기는 힘들 것으로 내다봤다. 부동산 시장 전망이 불투명하고 민간택지보다 분양가가 저렴한 공공택지 물량에서도 미분양이 발생하고 있기 때문이다. 버블세븐 지역 중 가장 침체의 골이 깊은 용인 지역도 판교ㆍ광교 등 인근 지역에서의 입주물량이 넘치는데다 고금리로 인해 신규투자 수요유입 가능성이 적어 이번 대책에 시큰둥한 반응을 보이고 있다. 용인시 죽전지구 H공인 사장은 "연말부터 내년 봄까지 판교ㆍ광교ㆍ성복동 등에서 입주하는 물량이 많고 은행 금리도 너무 높아 LTVㆍDTI가 완화된다 해도 높은 이자를 감수하고 신규 매수세가 달라붙기는 어려운 상황"이라고 말했다. 인근 G공인 사장도 "지금도 용인에서 빠져나가고 싶지만 집이 안 팔려 못 나가는 사람이 수두룩하다"며 "용인 집값이 오른 것은 저금리 대출을 통한 투자가 가능했기 때문인데 지금은 고금리에다가 경기침체로 투자자들의 심리도 꽁꽁 닫혀 있어 시장 활성화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용인 외에 김포ㆍ파주 등도 비슷한 반응을 보였다. 파주의 B공인중개사 관계자는 "민간 아파트에서 미분양이 발생한 것은 전매제한 탓도 있지만 고분양가 가장 큰 원인이었다"며 "주변 시세보다 저렴한 공공개발 아파트도 미분양이 발생하기 때문에 이번 대책이 큰 힘을 발휘하기는 힘들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김포의 M공인중개사 관계자도 "아파트는 앞으로 가격이 오를 것이라는 기대가 있어야 매수세가 생기는 데 부동산 대책이 오락가락하고 전망도 불투명하기 때문에 전매제한이 완화된다 해도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관련기사 ◀◀◀ ▶ 회생 힘든 건설사 퇴출시킨다 ▶ [10·21 부동산 대책] 부양책 이번엔 약발 받을까 ▶ [10·21 부동산 대책] 정부 남은 카드는? ▶ [10·21 부동산 대책] 담보대출 얼마나 더 받을수 있나 ▶ [10·21 부동산 대책] 주택투기·투기과열지구 해제 지역은 ▶ [10·21 부동산 대책] 건설사 등급 분류 어떻게 하나 ▶ [10·21 부동산 대책] 건설업계 반응은 ▶ [10·21 부동산 대책] 건설사 구조조정은 어떻게 ▶ [10·21 부동산 대책] 시장메커니즘 통한 유동성 지원 내용은 ▶ [10·21 부동산 대책] 공공부문 활용 지원방안은 ▶ [10·21 부동산 대책] 가계부문 지원방안 보면 ▶ [10·21 부동산 대책] 일문일답 ▶ [기자의 눈/10월 22일] '대책' 아닌 '정책'으로 승부하라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