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국가경쟁력 美의 절반"

■ 전경련 328社 설문조사CEO들 기업 '양호' 공공·인적자원 '열악' 평가 국내기업 최고경영자(CEO)들은 우리나라 국가경쟁력이 미국의 절반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평가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이들은 특히 기업ㆍ경제기반 부문의 경쟁력은 비교적 양호한 반면 공공ㆍ인적자원 부문이 열악한 것으로 평가, 국가경쟁력 강화를 위해 이 부문을 시급히 개선해야 할 것으로 지적했다. 전국경제인연합회는 19일 국내 328개 대기업과 중소기업 CEO를 대상으로 ▲ 인적자원 ▲ 기업 ▲ 공공 ▲ 경제기반 ▲ 인프라 등 5개 부문 75개 항목에 걸쳐 경쟁력을 평가한 결과 우리 국가경쟁력은 미국의 54% 수준에 불과한 것으로 조사됐다고 밝혔다. 이는 구체적으로 수치화하지는 않았지만 중국ㆍ타이완과 비슷한 수준이라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부문별로 보면 기업ㆍ경제기반이 각각 세계 최고 국가의 62ㆍ61%로 비교적 높은 평점을 받았으며 기업의 IT화(75%)는 세계 최고 수준으로 나타났다. 반면 공공 부문은 45%, 인적자원 부문은 45%로 열악한 것으로 평가됐다. 공공 부문의 경우 부패정도(청렴도)와 관료능력이 세계 최고인 싱가포르의 38ㆍ27%에 그쳤고 관료주의 탈피 정도(33%)도 경쟁력이 매우 취약한 것으로 지적됐다. 인적자원 부문은 영어(27%)와 제2외국어 구사능력(20%)이 가장 열악, 영어 제2공영화 추진 등 획기적인 외국어 교육정책이 필요하다고 전경련은 지적했다. 세계 최고경쟁력을 갖춘 국가로는 미국이 전체 75개 조사항목의 60%인 45개 항목에서 1위를 기록, 압도적으로 높은 평가를 받았고 싱가포르가 2위에 올랐다. 아시아 국가 중 중국은 ▲ 생산성 ▲ 인적자원 ▲ 외국인투자 환경 부문에서 최고의 경쟁력을 갖춘 국가로 평가돼 '세계의 생산공장'으로 불릴 만큼 제조업 경영환경이 우수하다는 사실을 입증했다. 전경련의 한 관계자는 "이는 고강도 구조조정으로 기업경쟁력 등은 크게 개선된 반면 공공ㆍ교육 부문이 좀처럼 개선되지 않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이라며 "앞으로 교육시스템, 정치ㆍ행정시스템, 준조세 등 사회적 거래비용, 여성인력 활용도의 항목에서 상당한 개선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최형욱기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