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北 안전보장 문서화 아직은 구체성 없어”

조지 W 부시 미 대통령이 아ㆍ태경제협력체(APEC) 회의 기간 중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을 문서로 해주는 방안을 제시했지만 그 방안은 아직 구체성을 갖고 있지 않다고 워싱턴 포스트가 21일 보도했다.워싱턴 포스트는 미 정부 고위관리의 말을 인용, “부시 정부는 대북 안전보장 안의 구체적 형식, 북한의 의무 이행에 대한 검증 방법, 문서의 효력 발생 전 북한이 이행해야 할 사안 등 세가지 핵심 쟁점을 해결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미 정부는 현재 대북 안전보장 방안으로 ▲부시 대통령 명의로 발표되는 성명에 다른 6자 회담 참가국이 공동 서명하는 방안 ▲우크라이나의 핵 폐기를 위해 미국 러시아 영국이 다자 안전보장을 해주었던 방식 ▲북한이 협상에 참여하고 6자 회담 참가국 모두가 공식적으로 서명할 복잡한 형태의 협정을 맺는 방안 등을 고려하고 있다고 이 신문은 전했다. 워싱턴 포스트는 “대북 안전보장안 형식의 불확실성은 부시 정부 내 갈등상을 반영하고 있다”며 “특히 대북 협상 지지자들은 검증 문제에 대한 논의가 반대파에 의해 협상 무용론 확산 쪽으로 이용될 가능성을 우려하고 있다”고 밝혔다. <워싱턴=김승일 특파원 ksi8101@hk.co.kr>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