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대통령직 인수위 핵심 간사 거취 관심

대통령직 인수위원회 활동이 막바지에 접어들면서 핵심인물로 알려진 각 분과 간사들의 거취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인수위가 현 정부와 새 정부를 잇는 과도정부 역할을 하고 있는 만큼 핵심포스트를 맡고 있는 간사들이 새 정부에서 큰 역할을 할 것이라는 기대감 때문이다. 지난 연말 인수위 출범 때만해도 정무, 경제1, 경제2, 사회문화 등 6개 분과 간사들은 모두 새 정부에서 장관급에 중용될 것이란 관측이 지배적이었다. 그러나 새 정부 출범을 26일 앞 둔 현재 청와대 입성이나 입각 대상으로 떠오르고 있는 사람은 3~4명정도. 노무현 대통령 당선자가 인사의 최우선 원칙으로 내세우고 있는 `뜻과 가치를 같이 하는 사람`과 당선자 측근들이 밝히고 있는 `젊은 대통령의 컨셉에 맞는 장관`에 부합하는 인사들이다. 지금까지 새 정부의 장관(급)으로 가장 빈번하게 거론 된 인사는 정무분과 간사를 맡고 있는 김병준 국민대 교수다. 노 당선자의 파워엘리트인 소장학자그룹을 주도해 온 김 교수는 청와대 비서실장과 투톱을 형성할 정책기획실장에 중용될 것이란 관측이 유력하다. 김 교수는 이 자리를 놓고 김영삼 정부에서 정책기획수석을 지낸 박세일 서울대 교수, 김진표 인수위 부위원장과 경합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교수출신으로 인수위 제2분과(산업ㆍ통신 등 담당) 간사를 맡고 있는 김대환 인하대 교수는 김병일 전 공정위 부위원장과 함께 공정거래위원장 후보 물망에 오르고있다. 그는 또 산업자원부 장관 후보로 거론되고있다. 외교통일안보 분과 간사인 윤영관 서울대 교수는 청와대 외교안보 수석으로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이정우 경제1분과 간사는 경제부처 장관으로, 이병완 기획조정간사는 청와대 홍보수석으로 각각 거론되고 있다. 그러나 인수위 각 분과 간사들 중 상당수가 조용하게 본래의 자리로 되돌아갈 가능성도 높다는 지적이다. 그동안 정부 부처와의 잦은 충돌과 새 정부 요직을 둘러싼 내부 입각경쟁, 정책혼선 등으로 불필요한 흠집을 많이 냈기 때문이다. 최근 단행된 청와대 정무수석(유인태 전 의원), 민정수석(문재인 변호사), 국민참여수석(박주현 변호사) 내정인사에서 인수위 관계자가 단 한명도 끼지 못한 것도 이 때문이란 지적이 적지않다. <박동석기자 everest@sed.co.kr>

관련기사



박동석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