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설

[사설/8월 14일] 올림픽 후 중국경제 위기설에 대비해야

뜨겁게 달아오르고 있는 베이징올림픽과 달리 중국경제의 열기가 식어가고 있다. 물가급등, 무역흑자 감소, 전력난, 주가급락 등 각종 악재가 겹쳤다. 위안화 가치도 10일 연속 하락으로 외자이탈 가능성까지 제기돼 올림픽 후 중국경제의 경착륙을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다. 중국경제의 경ㆍ연착륙 여부는 중국 의존도가 날로 높아지는 한국경제에 미치는 영향이 지대하다는 점에서 대비가 요구된다. 중국경제의 불안을 대표적으로 보여주는 금메달감은 10% 상승을 기록한 지난 7월의 생산자물가지수다. 1995년 11월 이후 12년8개월 만에 두자릿수를 기록했다. 소비자물가지수도 6.3%로 물가억제선 4.3%선을 훌쩍 뛰어넘었다. 무역흑자도 1~7월에는 지난해 동기보다 9.6%나 감소됐다. 이 때문에 중국정부는 지난해 가을부터 강화해온 금융긴축정책을 완화할 움직임을 보일 정도로 중국의 경제상황은 낙관을 불허한다. 이 같은 중국경제 불안을 단순한 ‘올림픽 몸살’로 치부하기 어려운 것은 인플레이션 조짐과 자본시장 침체 등을 일시적인 현상으로 볼 수 없기 때문이다. 7월 생산자물가지수가 10%를 기록한 것은 앞으로 소비자물가 상승 압력이 커진다는 예고다. 여기에 달러 강세에다 미국이 금리를 인상하면 핫머니가 대규모로 중국시장을 뒤로 할 가능성을 무시할 수 없어 올림픽 이후의 중국경제 불안에 대비해야 한다는 게 전문가의 경고다. 올림픽 투자가 규모가 커진 중국경제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크지 않고 원자재 값이 하락세로 돌아섰다는 점 등에서 중국경제 위기설에 대한 반론도 만만치 않지만 모든 것이 물가억제에 달렸다고 과언이 아니다. 올림픽 시설에 대한 많은 투자와 과잉생산의 영향은 물가를 압박할 것으로 보인다. 물가를 잡지 못하면 금융긴축정책 완화와 경기부양 등의 거시경제정책이 딜레마에 빠질 우려가 크다. 이 같은 위기설 속에 후진타오(胡錦濤) 국가주석이 이달 말께 올림픽 이후 첫 해외 나들이로 한국을 찾아 ‘전력적 협력관계’의 구체적 방안 등을 협의할 것으로 알려져 한국으로서는 더욱더 올림픽 후의 중국 정치ㆍ경제 등의 변화에 관심을 갖고 대비해야 한다. 양제츠 외교부장이 13일 한국을 방문한 것도 이 때문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