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피니언 사내칼럼

[기자의 눈] 환경규제도 선진화할 때

안길수 기자 <생활산업부>

“유럽 환경 기준에 맞춘 테스트 결과를 국내에 그대로 적용시켜 침대 매트리스에서 유해 물질이 발견됐다고 업체들을 싸잡아 매도하는 건 억울합니다.” 최근 여러 방송사에서 “친환경상품진흥원이 지난달 건설기술연구원에 의뢰해 국내 침대업체 5개 제품을 조사한 결과 5개 중 3개에서 유해 물질인 휘발성유기화합물(VOC)이 유럽 환경마크 기준치를 초과해 검출됐다”는 보도를 내보낸 후 국내 침대업체들의 볼멘소리가 이어지고 있다. 유럽 환경마크 기준에 따르면 침대 매트리스 등 가구에서 VOC가 평방미터당 0.5㎎ 이상 검출될 경우 부적합 판정을 받게 되는데 이를 국내 침대 매트리스에 적용할 경우 대부분 업체들이 기준치를 초과하게 된다는 게 업체 관계자들의 주장이다. 한 업체 관계자는 21일 “그동안 정부에서 이렇다 할 표준안을 제시하지 않았는데도 자체적으로 안전위생(HS) 마크를 도입하는 등 친환경제품 개발에 노력해왔는데 이런 노력들이 간과됐다”면서 “방송 보도는 편파적이고 일방적”이라고 주장했다. 또 다른 업체의 한 관계자도 “소비자들이 이런 내용을 접하면 국산 침대 매트리스가 유해하다는 선입견이 생겨 판매 감소로 이어질 수 있다”고 우려했다. 이에 대해 친환경상품진흥원의 한 관계자는 “국내에 환경인증 기준이 없을 경우 해외 선진국 표준을 적용해 비교해보는 게 관행”이라며 “환경부에 환경인증에 대한 보고서를 제출하는 과정에서 첨부된 내용이 언론에 알려진 것이지 일부러 보도자료를 낸 것은 아니다”고 해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환경마크 인증기준을 해외 선진 기준치에 맞추는 것이 기업들의 수출 경쟁력을 높이는 데 기여한다”고 덧붙였다. 물론 백번 맞는 얘기다. 언제까지 우물 안 개구리로 살지 않을 거라면 업종을 막론하고 생산단계에서부터 선진국 기준에 미리미리 대비해야 하는 건 당연한 이치다. 이 같은 문제는 비단 침대뿐만이 아니라 EU의 자동차 배기가스 규제를 비롯 화장품ㆍ세제 등 다양한 업종이 선진국 환경규제 문제에 봉착해 있다. 이번 공방을 계기로 정부에서도 선진국의 환경규제를 기업들에 널리 알리는 한편 국내 기업들도 제품 생산단계에서부터 선진국 수준의 기준에 맞추는 환경경영 정착에 더한층 노력을 기울여야겠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