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애플 아이패드 공개] 잡스 "아이패드는 최고 기술로 만든 마법같은 작품"

■ 애플 창업자 스티브 잡스는<br>회사서 축출후 10년와신상담 복귀하자마자 과감한 구조조정<br>아이팟·아이폰 등 연이어 공개 IT컬처 만들며 시장 쥐락펴락


SetSectionName(); 잡스 "아이패드는 최고 기술로 만든 마법같은 작품" [애플 아이패드 공개] 아이팟·아이폰에 이어 또 한번의 돌풍 기대IT마술사 이미지 더욱 굳혀발표회장 아침 일찍부터 전세계 취재진들 북새통 최인철기자 michel@sed.co.kr ImageView('','GisaImgNum_1','default','260'); '세계 정보기술(IT) 업계의 구루(Guru) 스티브 잡스가 또 하나의 마술을 시작했다.' 27일(현지시간) 미국 샌프란시스코의 예르바부에나 아트센터. 취재진을 비롯한 모든 사람들의 이목이 태블릿PC '아이패드'를 소개하는 잡스 애플 최고경영자(CEO)에게 집중됐다. 이 자리에서 잡스 CEO는 "애플의 최고 기술로 만들어낸 마법과 같고 혁명적인 제품을 소개하는 것으로 2010년을 시작하려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아이패드에 대한 그의 기대가 얼마나 큰지를 단적으로 말해주는 대목이다. 검은색 목티와 청바지, 흰색 운동화 차림의 잡스는 "아이패드는 세상 어떤 미니 노트북보다 얇고 가벼우면서도 멀티터치를 통한 빠른 반응속도와 다양한 네트워크를 지원한다"며 "가장 발전된 기술을 매혹적이고 혁명적인 기기에, 그것도 믿을 수 없는 가격으로 내놓았다"고 자신감을 드러냈다. 잡스는 아이패드를 이용해 뉴욕타임스 인터넷 사이트에 접속하기도 하고 전자책(e북) 기능도 설명하는 등 다양한 성능을 알리는 데 주력했다. 실용성을 강조하기 위해 뉴욕타임스와 게임 업체인 게임로프트ㆍEA, 스포츠 웹사이트 MLB닷컴 관계자들까지 참여시켜 아이패드가 멀티미디어 기기라는 점을 재차 강조했다. 다소 수척한 모습의 잡스는 "지난해 말까지 애플은 MP3플레이어인 아이팟을 2억5,000만개나 팔았다"며 아이팟에 이어 아이폰ㆍ아이패드로 이어지는 '아이(i)' 시리즈에 강한 자신감을 나타냈다. IT 분야의 마법사로 이미지를 한층 굳히는 모습이다. 이날 신제품 발표회장은 아침 일찍부터 각국에서 몰려든 취재진으로 발 디딜 틈이 없었다. ABC와 NBCㆍCBS 등 미국 지상파 방송들은 중계차까지 동원해 생방송을 내보내기도 했다. 이처럼 세계적인 주목을 받고 있지만 잡스가 순탄한 길만 걸어온 것은 아니다. 그는 미혼모의 아들로 태어나 노동자 가정에 입양됐고 리드대에 입학했지만 6개월 만에 그만둔 '루저'였다. 하지만 지난 1976년 애플을 창업하면서 세계 IT 업계의 선구자로 나섰다. 잡스는 자신이 영입한 인물에게 쫓겨나기도 하는 등 '산전수전'을 다 겪었다. 그는 컴퓨너 매킨토시 프로젝트에 전문경영인 존 스컬리를 영입했지만 스컬리는 1986년 이사회를 소집해 익명 투표를 벌인 끝에 그를 영입한 잡스를 애플에서 축출했다. 잡스의 축출 이후 애플은 PC시장에서 제자리를 찾지 못하면서 결국 창업자인 잡스를 1997년 해결사로 다시 불러들인다. 10년이 넘는 야인생활을 하며 '절치부심' '와신상담'했던 잡스는 애플에 복귀하자마자 대대적인 구조조정을 단행했다. 매킨토시라는 컴퓨터 핵심사업을 제외하고 프린터와 디지털카메라ㆍ PDAㆍ스피커ㆍ외장하드 등 대부분의 사업을 과감히 포기했다. 잡스의 승부수는 1998년 '아이맥'으로 빛을 보기 시작됐다. 영국 출신 디자이너 조너선 아이브를 영입해 디스크 드라이브를 없애고 USB포트만을 갖췄다. 아이맥이 성공을 거두면서 애플은 1993년 이래 처음으로 연속 분기 흑자를 이어나갔다. 잡스는 2001년 10월 직관적 사용의 MP3플레이어 아이팟을 통해 새로운 IT컬처 창시자로 부활한다. 이 업계의 후발주자이면서도 아이팟이라는 기기에 '아이튠즈'라는 음악관리 소프트웨어 장터를 만들면서 하드웨어에서 소프트웨어까지 아우르는 새로운 내공을 선보였다. 아이팟은 유료 음원장터 아이튠즈의 성공과 더불어 100메가바이트(MB) 미만의 소용량이 대세인 MP3플레이어를 5GB 또는 10GB 등의 대용량으로 확장시키면서 시장을 선도했다. 아이팟에 이어 스마트폰인 아이폰은 잡스의 마술을 의심하는 사람의 넋을 빼놓았다. 휴대폰 분야에 전혀 경험이 없으면서도 수요자의 요구와 직관적인 터치 느낌을 정확히 집어내며 내로라하는 기존 강자들을 무너뜨리고 단숨에 시장의 주도권을 잡았다. 아이폰은 아이팟 성공을 기반으로 한 제품으로서 기본 콘셉트와 디자인을 바탕으로 하드웨어는 외주를 주면서 영업이익률 30%대라는 경이적인 기록을 세웠다. 잡스의 새로운 도전 아이패드는 어찌 보면 본업인 '컴퓨터'에서 이미 잉태된 결과라고 봐야 할 것이다. 34년여간 글로벌 IT 업계에서 극과 극을 경험한 그가 띄운 마지막 승부수일 수 있기 때문이다. 태블릿PC는 빌 게이츠 마이크로소프트 회장이 2001년 처음 소개했지만 가격 등의 문제로 시장진입에 실패했는데 이번에 잡스의 손을 거치면서 새로운 멀티미디어 기기로 각광받고 있다. 혼자 웃는 김대리~알고보니[2585+무선인터넷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