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업 산업일반

세계 3대 지능형로봇 강국 육성

2013년 총생산 30兆·2020년엔 100兆<br>전문인력 2만명 양성·혁신 클러스터 확대<br>나노기술도 본격 지원 '세계 빅3' 발돋움


우리나라가 오는 2013년 지능형 로봇 산업 총생산 30조원, 2020년에는 100조원에 이르는 세계 3대 지능형 로봇 강국으로 부상한다. 또 나노기술(NT) 개발을 본격 지원해 2015년 세계 3대 나노 국가로 발돋움하고 2040년에는 독자적인 핵융합 에너지 상용화 기술을 확보, 미래 에너지 강국 반열에 진입한다. 정부는 13일 오전 서울 롯데호텔에서 오명 부총리 겸 과학기술부 장관 주재로 제19차 국가과학기술위원회를 열어 이 같은 내용의 ‘지능형 로봇 산업 비전ㆍ발전전략’ 등 5개 안건을 심의, 확정했다. 정부는 이날 회의에서 로봇 산업을 체계적으로 지원, 2013년 세계시장 점유율 15%, 총생산 30조원, 수출 200억달러, 고용창출 효과 10만명 수준으로 끌어올려 세계 3대 지능형 로봇 국가로 부상하기로 했다. 현재 우리나라의 로봇 산업은 3,500억원 규모로 세계 6위 수준이다. 정부는 이를 위해 로봇 전문인력 2만명을 양성하고 수도권에 혁신 클러스터를 조성하는 한편 기존 로봇지역거점연구센터 등을 지역혁신 클러스터로 확대하기로 했다. 다른 차세대 성장동력 사업과 연계해 시너지 효과를 극대화하는 방안도 추진된다. 정부는 또 인공위성을 이용해 정확한 위치와 시각정보를 제공하는 위성항법 시스템(GNSS) 관련 ‘국가위성항법 시스템 종합발전 기본계획’을 확정하고 2009년부터 개발 예정인 정지궤도 위성에 항법기능을 탑재하는 등 GNSS 기반을 조성할 방침이다. 이와 함께 ‘국가 핵융합에너지 개발기본계획’을 본격 추진해 2020년 핵융합 에너지 기술 6대 강국에 진입하고 이어 2035년에는 한국형 핵융합발전소 건설능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관련기사



최수문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