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직장인 평균 56.9세에 은퇴

노동부 1,950곳 조사


직장인들은 평균 56.9세에 은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0일 노동부가 상시근로자 300인 이상 사업장 1,950개를 대상으로 55세 이상 고령자 고용현황을 조사한 결과 이들 사업장 근로자들의 지난해 평균 정년은 56.93세로 조사됐다. ▦2002년 56.62세 ▦2003년 56.65세 ▦2004년 56.82세 ▦2005년 56.83세 등이었던 점을 감안하면 은퇴시점이 조금씩 늦어지고 있는 셈이다. 조사 대상 기업의 95.7%가 정년제를 운영하고 정년제 도입기업의 76.2%는 직급 또는 직종에 상관없이 모든 근로자에게 동일한 정년을 적용하는‘단일 정년제’를 채택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직급별 정년제는 11.4%, 직종별 정년제는 9.6%로 조사됐다. 단일 정년제를 채택한 사업장의 정년은 55세가 49.2%로 가장 많았으며 58세 23.4%, 60세 이상 16.5% 등의 순이었다. 업종별로는 ▦부동산ㆍ임대업(58.40세) ▦운수업(58.27세) ▦전기가스ㆍ수도업(58.0세)은 평균 정년보다 높았고 ▦제조업(56.54세) ▦도ㆍ소매업(56.26세) ▦건설업(56.21세)은 상대적으로 낮았다. 사업장 규모별에서는 300~499인 56.97세, 500~999인 56.95세, 1,000인 이상 56.83세로 차이가 거의 나지 않았다. 한편 고령자 평균 고용률(상시근로자 수에서 55세 이상 근로자가 차지하는 비율)은 5.48%로 2005년(4.94%)에 비해 0.54%포인트가 상승했다. 고령자 고용률은 2001년 3.0%에서 2002년 3.7%, 2003년 4.19%, 2004년 4.51% 등으로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사업장 규모별로는 300~499인 8.94%, 500~999인 8.30%, 1,000인 이상 3.84% 등 규모가 커질수록 고령자 고용을 회피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