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 국제일반

美 "대규모 추가부양책 고려안해"

버락 오바마 미국 행정부는 경기회복세 둔화와 관련해 추가 경기부양책을 검토하고 있지만 행정부 출범 초기와 같은 대규모 부양정책은 고려하지 않는다고 백악관이 2일(현지시간) 밝혔다. 로버트 기브스 백악관 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대규모 부양책을 계획하고 있지 않다"며 "대신 경기회복 속도를 높이기 위한 '맞춤형' 부양조치들을 모색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오바마 행정부는 출범 초 8,000억여달러의 경기부양책을 마련해 시행해왔다. 이와 관련, 미 언론들은 백악관이 검토 중인 소규모 맞춤형 경기부양책의 경우 지난 1930년대 대공황과 같은 경제위기를 맞을 수 있어 대규모 경기부양책이 필요하다는 크리스티나 로머 백악관 경제자문위원장의 의견과 배치된다면서 로머 위원장의 퇴진은 백악관 경제팀의 정책불화에서 비롯됐다고 해석했다. 로머 위원장은 1일 내셔널프레스클럽에서 "이번 경기침체는 2차 대전 이후의 상황과 다르며 재정적자를 이유로 실업자들을 고통 속에 방치해서는 안 된다"며 강력한 재정투입을 통해 경기방어에 나설 것을 촉구했다. 그러나 백악관 경제팀 내부에서는 오는 11월 중간선거를 앞두고 추가 부양책을 시행하는 것과 재정적자 감축에 더 역점을 두는 방안을 놓고 논쟁이 벌어졌으나 결국 재정적자 감축에 초점을 맞추는 쪽으로 입장이 정리된 것으로 알려졌다. 기브스 대변인은 오바마 대통령이 구상하고 있는 추가 부양조치에 대해 구체적으로 언급하지 않은 채 앞으로 며칠 혹은 몇주 내에 좀 더 구체적인 방안이 제시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월가에서는 추가 부양책이 중소기업 지원과 고용창출 기업에 대한 세제지원에 초점을 맞출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