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특별인터뷰] 美 세미코연구소 짐 펠드한 소장·셰리 가버 부소장

"하이닉스 생존관건은 D램값 회복""세계 반도체 시장은 회복 중에 있고, 올해 D램 시장은 지난해보다 43% 확대될 것입니다. D램 가격은 2ㆍ4분기에 조정과정을 거치면서 하락하고 있지만, 하반기에는 회복될 것으로 봅니다." 미국 애리조나주 피닉스에 위치한 반도체전문 연구소 세미코의 짐 펠드한 소장과 셰리 가버 부소장은 세계 반도체 시장에 대해 낙관적 견해를 갖고 있다. 두 전문가는 한국 하이닉스의 생존 관건으로 D램 가격 회복을 꼽았으며, 미국의 정보통신(IT) 산업은 올 하반기에 회복기에 들어설 것으로 내다보았다. 펠드한 소장과 가버 부소장을 컨퍼런스콜 형식으로 전화인터뷰했다. - 미국 반도체 협회(SIA)의 통계에 따르면 지난 3월과 4월 두달 연속으로 세계 반도체 판매가 늘어난 것으로 집계되고 있습니다. 세계 반도체 시장이 회복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야 합니까. ▦짐 펠드한 소장= 우리는 반도체 시장이 회복 중에 있다고 믿고 있습니다. 지난 1ㆍ4분기엔 세계 반도체 시장이 6%에 약간 못 미치는 성장을 했습니다. 2ㆍ4 분기 첫달인 4월 통계는 1분기 첫달인 1월보다 좋습니다. 따라서 2분기에도 회복세를 지속하고, 1분기에 비해 10% 이상의 성장을 하리라고 봅니다. 지난해 반도체 시장은 암울했지만, 올해는 회복 중에 있고 회복의 바람은 이미 불기 시작했습니다. ▦셰리 가버 부소장= 미국 경제가 지난해 심각한 경기침체를 겪은 것은 아니지 않습니까. ▦펠드한 소장= 예. 지난해 미국의 거시 거시경제는 3ㆍ4분기를 제외하고는 마이너스 성장을 하지 않았습니다. 지난해 4ㆍ4분기 이후 강력하게 회복했지요. 미국 연방정부의 1년에 걸친 강력한 경기부양정책으로 미국의 거시경제와 반도체 경기가 지난해의 경기 하강을 극복하고, 동시에 살아났습니다. 동시에 산업분야의 재고가 줄어들었습니다. 지난해 한해 동안 산업 재고는 감소 추세에 있었고, 4분기엔 대폭적인 감축이 단행됐고, 올 1분기에도 이어졌습니다. 이런 와중에 산업 분야의 주문이 발생하기 시작했고, 지금까지 이어지고 있습니다. 그러나 산업분야의 회복이 반드시 판매 증가와 연결되는 것은 아닙니다. - 반도체 경기 회복은 재고 정리 과정에서 발생했다는 얘기입니까. ▦펠드한 소장= 1ㆍ4 분기 통계를 들여다볼 때 반도체 주문이 늘고, 판매가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나고 있습니다. 그리고 재고 정리도 이제 거의 끝마무리 단계에 있는 것으로 보입니다. 주문이 늘고, 판매가 증가하더라도, 아직 소비자들은 재고 상품을 소비하고 있는 단계입니다. 재고 정리와 동시에 새로운 주문이 생겨 생산이 늘어나는 단계은 아직 아닙니다. - D램 분야에 대해 질문하겠습니다. D램 시장은 회복단계에 있고, 올해 D램 시장의 전체매출이 43% 증가한다고 예측하셨는데요. ▦가버 부소장= 그렇습니다. 올해 D램 매출이 급증할 것이라는 예측에 앞서 지난해에 62% 급감했다는 사실에서 인식해야 합니다. 따라서 올해 빠른 회복은 지난해 급격한 시장 위축을 토대로 한 것입니다. D램 시장은 지난해 4분기에 미국 경기 회복과 동시에 시작됐고, 판매가 살아나기 시작했습니다. D램 생산이 올해 6~7%의 증가가 있을 것으로 예상되고, 서버 시장도 증가가 예상됩니다. 또한 생산자들이 공급 물량을 조절하는 역할을 강화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올 1분기에 반도체 시장이 강력하게 회복했고, 일부 물량 부족 현상까지 나타났습니다. 2분기에는 매출이 약간 줄어들어, 조정 과정을 거치고 있습니다. 공급이 수요에 비해 다소 많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올 하반기에는 수요가 살아날 것으로 전망되며, 가격도 상승할 것으로 봅니다. - 최근 D램 가격이 하락하고 있는데, 그 이유를 좀더 상세하게 설명해주시겠습니까. ▦가버 부소장= D램 수요는 지난해 4분기에 늘어났고, 올 1분기에도 지속됐습니다. 그렇지만 생산자들이 공급물량을 늘려, 시장에 물량과잉 현상이 생겨나기에 이르렀습니다. 여기에 D램 생산업체들의 경쟁이 가열됐습니다. 시장 점유율을 높이기 위한 경쟁인데, 이런 점들이 가격 하락 요인이 됐습니다. - 최근 뉴욕 증시에서 중장기적인 반도체 수요 확대에 대한 불신이 높아지고 있습니다. 수요측면에서 설명해주시지요. ▦가버 부소장= 반도체 수요는 거시 경제 회복에 동반해 움직입니다. 기업들이 실업률을 줄이고, 실업자들이 직장으로 돌아가면서 경제의 전반적인 수요가 증가하고, 반도체 시장의 수요도 늘어날 것입니다. ▦펠드한 소장= 최근의 기업부문 연구 자료를 보면, 미국 기업들이 올 하반기에 회복할 것이라는 전망이 많습니다. 미국 경제가 회복을 시작했지만, 아직 노동시장은 그렇지 않습니다. 기업이 투자를 하면 인력을 다시 고용함과 동시에 컴퓨터를 비롯해 생산 시설을 확충하게 됩니다. 그것은 반도체 수요가 증가하는 것을 의미합니다. 게다가 지난해에 주목할 점은 기업 부문에서 많은 설비 구조조정이 있었다는 점입니다. 많은 기업들이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해 낡은 설비를 정리하고 새로운 설비를 도입했습니다. 예를 들면 시스코 시스템스는 낡은 설비를 대거 교체했습니다. 경쟁력을 높이기 위해서였지요. 이 과정에서 새로운 설비가 도입됐고, 이는 반도체 시장에 새로운 수요 창출의 요건이 되고 있습니다. - 국제 반도체 시장에서 아시아 시장의 성장이 더 높은 이유는 무엇입니까. ▦펠드한 소장= 그 결과는 아시아에 제조업이 증가하는 추세에 있기 때문입니다. 아시아에 제조업이 밀집하면서 반도체 구매력이 늘어나고 있는 것입니다. 이러한 점이 미국 반도체 협회(SIA) 통계에 잡히고 있는 것입니다. ▦가버 부소장= 맞는 말입니다. IBM이나 델 컴퓨터가 노트북 컴퓨터 생산라인을 대만에 두고 있습니다. 많은 미국 하이테크 기업들이 아시아에 생산거점으로 하고 있습니다. 따라서 아시아 시장에 반도체 수요가 커지고 있는 것입니다. - 2000년초 정보통신(IT) 산업이 붕괴된후 IT 산업의 투자가 급감했습니다. IT 투자가 언제 다시 활성화될까요. ▦펠드한 소장= 저의 견해로는 IT 투자는 기업들이 고용을 늘리기 시작하면서 시작될 것으로 봅니다. 그것은 올 하반기가 되지 않을까 생각합니다. 기업 수익이 증가하고, 그러면 기업들이 투자를 늘리고, IT 부문이 활성화될 것으로 봅니다. 이런 일들이 3분기에 시작될 것으로 봅니다. 비록 완만하지만 IT 경기는 4분기에 시작될 것으로 봅니다. 기업 수익이 3분기와 4분기에 증가하면서 투자를 늘리고, 이에 연동해 IT 산업의 하락이 멈추고 회복의 길을 걸을 것으로 봅니다. - 한국의 하이닉스에 대해 물어보겠습니다. 최근 하이닉스 이사회가 마이크론 테크놀로지에 대한 매각안을 거부한후 협상이 결렬됐습니다. 재협상 가능성이 있습니까. ▦가버 부소장= 글쎄요. 두 회사 사이에 너무나 많은 협상을 했고, 모든 것이 노출됐습니다. 물론 재협상의 가능성은 있습니다. 그런데 전제조건이 있습니다. 첫째는 마이크론이 협상을 재개할 만큼 투자가치가 있느냐를 판단하는 일입니다. 하이닉스 이사회가 마이크론의 주식을 너무 비싸게 판다고 결정했기 때문에 이 문제가 중요한 관건이 되겠지요. - 실제 너무 비싸지 않았습니까. ▦가버 부소장= 그 문제는 마이크론과의 협상 과정에서 제기됐던 문제입니다. 마이크론측의 주장은 주식가격이 오르면 되지 않느냐는 것이었지요. 둘째는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느냐는 것입니다. 그런데 (이사회의 결정이 있은후) 더 이상 가격이 오르지 않고 있다는 점입니다. 관건은 하이닉스가 더 이상 가동을 계속할수 있느냐에 달려있습니다. - 하이닉스가 해외에 매각되지 않고, 독자 생존할 가능성은 없습니까. ▦가버 부소장= 아주 중요한 질문입니다. 제가 앞서 말한 내용 가운데 대답이 있습니다. ▦펠드한 소장= 가장 큰 의문점은 하이닉스가 외부의 지원없이 얼마나 생존할수 있느냐 하는 것입니다. ▦가버 부소장= 하이닉스에게 가장 중요한 것은 자금입니다. 반도체 산업은 투자를 하지 않으면 이길수 없는 업종입니다. 경쟁이 치열한 산업이지요. D램 가격은 지난 5월까지 하락했고, 이달(6월)에도 하락세를 멈출 것 같지 않습니다. 하이닉스가 독자생존하려면 매출을 늘려야 하는데, 가격 하락이 이를 어렵게 하고 있습니다. 뉴욕=김인영특파원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