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정책

22개 신성장동력에 5년간 99兆원 투자

내년부터 정부·민간 공동…일자리 88만개 창출

대한민국의 미래 먹거리를 책임질 신성장동력 22개가 최종 선정됐다. 정부와 민간은 내년부터 오는 2013년까지 5년 동안 신성장동력에 정부 7조9,000억원, 민간 91조5,000억원등 총 99조4,000억원을 투자해 새로운 일자리 88만개를 창출한다는 계획을 세웠다. 지식경제부와 신성장동력기획단(단장 서남표 KAIST 총장), 콘텐츠코리아추진위원회(위원장 김영훈 대성그룹 회장)는 22일 오전 대전 전자통신연구원(ETRI)에서 이명박 대통령 주재로 신성장동력 보고회를 열어 22개 분야를 신성장동력으로 최종 선정했다. 22개 분야는 ▦무공해 석탄에너지 ▦해양 바이오 연료 ▦태양전지 ▦이산화탄소 회수 및 자원화 ▦연료전지 발전 시스템 ▦원전 플랜트 ▦그린카 ▦선박ㆍ해양 시스템 ▦반도체 ▦디스플레이 ▦차세대 무선통신 ▦LED조명 ▦ RFID/USN ▦로봇 ▦신소재ㆍ나노융합 ▦IT융합 시스템 ▦방통융합 미디어 ▦바이오 신약 및 의료기기 ▦문화 콘텐츠 ▦소프트웨어 ▦디자인 ▦헬스케어 등이다. 이동근 지식경제부 성장동력실장은 “신성장동력 22개 분야는 정부와 민간이 머리를 맞대고 미래 한국을 책임질 산업 분야를 선정했다는 점에서 일종의 투자 가이드 역할을 할 수 있을 것”이라며 “민간의 투자증대와 고용창출 확대를 기대한다”고 말했다. 정부는 신성장동력으로 부가가치 생산액이 올해 116조원에서 5년 뒤인 2013년에는 253조원, 2018년에는 576조원으로 증가하고 신규 일자리는 5년 간 88만개, 10년간 226만개가 창출될 것으로 전망했다. 그러나 신성장동력이 실제 미래 먹거리로 자리매김하기 위해서는 정부보다 민간의 대규모 투자가 절실한 상황이다. 이에 따라 기획단은 대규모 민간 투자를 이끌어내기 위해 수도권 규제 완화와 금산분리 완화, 노동시장 유연성 확보 등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이 실장은 "기획단이 친기업적인 규제완화를 건의했다"며 "가급적 기업의 수요를 반영해 긍정적으로 개선할 수 있도록 관계 부처와 협의를 진행하겠다"고 밝혔다. 정부는 기획단과 추진위의 건의를 바탕으로 12월까지 금융과 문화ㆍ관광ㆍ국방 등을 포함하는 범부처 종합계획을 수립하고 신성장동력을 지속적으로 추진하기 위한 관리체계를 마련할 방침이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