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상위大 서열 '요지부동'

10년간 중하위권서만 순위바꿈 잦아<br>교대·의대 등 일부전공과 연관성도 커

지난 10년간 대학의 서열 변화는 주로 중상위권 이하 학교들 사이에서 이뤄졌고 상위 30% 이상 대학들은 서열 변동이 거의 없었던 것으로 나타났다. 또 대학의 서열화는 교대 및 의대 등 전공에 크게 좌우되는 것으로 조사됐다. 김진영 건국대 교수는 5일 ‘공공경제 2006년 1호’에 게재한 ‘수능 실시 10년간 대학의 서열 변화’ 논문에서 94년부터 2003년까지 대학별ㆍ학과별 평균 수능 점수를 활용해 대학의 서열 변화를 살펴본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밝혔다. 김 교수는 수능 성적을 기준으로 대학들을 10분위로 나누고 분위간 이동을 살펴본 결과 상위 1~3분위는 큰 변화가 없고 그 아래 분위에서 서열 변화가 많이 일어났다고 분석했다. 특히 상위 1~3분위 대학의 지위는 최근에 더 강화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 상위 10%의 학생을 받아들이는 학교 수도 98년 이후 줄어들고 있으며 상위 10%의 학생을 한번 받아들이지 못하게 된 학교들은 다시는 이들을 받아들이지 못했다. 기간별로는 99~2003년의 대학 서열 변화가 94~98년에 비해 훨씬 약한 것으로 나타나 최근에 와서 대학 서열의 고착화가 심화됐다는 지적이다. 교대와 의대 등 일부 전공과 대학 서열의 연관성도 깊어진 것으로 나타났다. 논문에 따르면 10년간 교대와 의대가 상당수의 상위 10% 학생을 흡수했으며 의대가 없는 대학 중 상당수는 상위 10% 학생들이 들어오는 대학군에서 탈락했다. 김 교수는 “교대와 의대의 약진으로 요약되는 전공의 서열화는 우수한 인재들을 성장에 필요한 혁신 분야에서 멀어지게 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지 않다”고 말했다. 그는 또 “대학 서열화는 대학의 재정보다는 학교 위치나 규모 등에 크게 좌우되긴 하지만 1인당 교육비 증가나 우수교수 확보도 서열 변화를 이끌 잠재력이 큰 것으로 조사됐다”고 덧붙였다.

관련기사



이재용 기자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