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금융 경제·금융일반

가구당 월 평균소득은 17% 늘었는데 稅·연금·의보는 38% 뛰어

근로소득보다 연금등이 소득증가 기여<br>가구주 연령 46.7세…고령화 추세 뚜렷


최근 3년간 가구당 월 평균 소득은 17% 증가했지만 지출 가운데 세금ㆍ국민연금 등 비(非)소비지출은 38%나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 증가율에 비해 강제성을 띤 비소비지출 증가율이 2.2배에 이르고 있는 것이다. 이에 따라 소득에서 비소비지출이 차지하는 비중도 지난 2003년 10.5%에서 2006년 12.3%로 상승곡선을 그리고 있다. 비소비지출 증가는 그만큼 가계의 재정여건을 악화시키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이 같은 사실은 11일 통계청의 2003년 1ㆍ4분기와 2006년 1ㆍ4분기 전국 가구의 가계수지 동향을 분석한 결과 드러났다. 이를 통해 살펴볼 때 가계수지 균형을 맞추기 위해서는 교육ㆍ식료품 등 소비지출을 줄이는 것 외에 마땅한 대안이 없는 것으로 해석되고 있다. 한편 통계청의 3년간 가계수지 동향 분석 자료를 보면 가구주 연령이 40대 중반을 넘어선 것으로 조사됐다. ◇퇴직금ㆍ경조소득이 소득증가에 큰 기여=소득은 경상소득(근로ㆍ사업ㆍ재산ㆍ이전소득)과 비경상소득(경조소득, 퇴직 일시금 등)을 합해 결정된다. 경상과 비경상을 합한 가구당 월평균 소득은 2003년 1ㆍ4분기 260만1,000원에서 2006년 1ㆍ4분기 306만2,000원으로 17.7% 증가했다. 항목별 소득 증가율을 보면 흥미로운 사실이 있다. 월급이 포함된 경상소득의 경우 2003년 243만3,000원에서 올해 282만4,000원으로 16.1% 늘었다. 이에 비해 비경상소득은 월 평균 16만8,000원에서 23만7,000원으로 41.2% 증가했다. 퇴직금 등 비경상소득이 가계 수입에 적잖은 도움을 준 것이다. 경상소득도 항목별로 보면 공적연금 등 이전소득이 크게 늘어난 것이 특징이다. 근로소득은 월 평균 160만3,000원에서 185만8,000원으로 15.9% 상승했다. 이에 비해 연금 수령, 친인척 송금 등 이전소득은 이 기간 동안 무려 73.1% 올랐다. 근로소득보다는 실직 등으로 연금, 친인척 재정 도움 등이 주요 수입원인 가구가 늘어났다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우리 경제의 어두운 측면을 반영하고 있는 것이다. ◇비소비지출 증가세 큰 폭으로 뛰어=소득은 3년 동안 17.7% 늘었다. 반면 이 기간 동안 가계지출(소비지출+비소비지출)은 월 평균 216만1,000원에서 258만4,000원으로 19.6% 뛰어 소득 증가율을 상회했다. 문제는 조세ㆍ공적연금 등 반드시 지출해야 될 비소비진출의 증가세가 예사롭지 않다는 점이다. 비소비지출금액은 3년새 27만3,000원에서 37만8,000원으로 38.5% 늘었다. 비소비지출은 다시 조세ㆍ공적연금ㆍ사회보험 등으로 구분된다. 항목별로 보면 조세는 이 기간 동안 33.7%, 공적연금은 30%, 사회보험은 27.9% 올랐다. 세부적으로는 조세 부담액이 가구당 월 평균 4만8,000원에서 6만4,000원, 공적연금은 5만7,000원에서 7만5,000원으로 8만원을 향해 질주하고 있다. 사회보험도 4만6,000원에서 5만9,000원으로 6만원에 육박하고 있다. 민간경제연구소의 한 관계자는 “가계 적자를 벗어나기 위해서는 식료품ㆍ교육ㆍ통신 등 소비지출을 줄이는 것 외에 마땅한 대안을 찾을 수 없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늙어가는 가구주와 자식 줄어드는 가구=통계청의 가계수지 동향 결과를 보면 눈에 띄는 것이 있다. 저출산ㆍ고령화가 스며 있다는 점이다. 조사대상 가구의 가구원 수를 보면 2003년 1ㆍ4분기에는 3.4명을 기록했다. 하지만 올 1ㆍ4분기에는 3.3명으로 0.1명 줄었다. 가구주 연령도 40대 중반을 뛰어넘었다. 연령은 이 기간 동안 44.7세에서 46.7세로 2살 더 늘어난 것이다. 가구원 수가 줄고 가구주가 고령화되는 추세에서 세금ㆍ공적연금 등 비소비지출 증가는 결국 소비위축 등으로 연결되면서 적잖은 후유증을 예고하고 있다.

관련기사



<저작권자 ⓒ 서울경제,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더보기
더보기





top버튼
팝업창 닫기
글자크기 설정
팝업창 닫기
공유하기